내용요약 시장 불확실성 제거에 힘입어... 보험사 구상권 청구가 관건

[한스경제=이정민 기자] 정부가 에너지저장장치(ESS)가 잇따른 화재사고의 직접적인 원인이 아님을 밝힘에 따라 업계가 다시 기재개를 펼 준비를 하고 나섰다.

22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지난 6월 정부는 연이은 ESS화재 발생이 배터리가 직접적인 결함이유가 아니라고 발표했다. 정부는 화재 조사 결과 배터리 제품 자체 결함보다는 ESS 보호시스템·관리·설치·운용이 문제라고 밝히자 시장의 불확실성이 제거됐다는 분위기다.

이에 ESS업계가 침울했던 분위기를 떨쳐내고 시장회복을 위해 적극적인 영업활동에 들어갔다.

지난 11일 김정훈 민관합동ESS화재사고원인조사위원장 등이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산업통산자원부에서 총23개 에너지저장장치(ESS) 화재사고에 대한 조사결과를 발표한 뒤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 사진=연합뉴스

정부는 화재원인으로는 ▲전기적 충격에 대한 배터리 보호시스템 미흡 ▲운영환경 관리 미흡 ▲설치 부주의 ▲ESS 통합제어·보호체계 미흡 등인 것으로 발표했다. 

정부가 화재 조사 결과 배터리 제품 자체 결함보다는 ESS 보호시스템·관리·설치·운용이 문제라고 밝히자 시장의 불확실성이 제거됐다. 업계는 분위기 반전을 노리는 눈치다.

ESS 업계 관계자들은 "정부의 화재 원인 조사 결과 발표가 한달가량 지난 시점에서 아직 공개할 수 있는 수주는 없지만, 이전보다 신규 수주에 대한 논의가 활발한 상황이다" 라고 말했다. 

정부의 화재 조사 발표가 지난달 이뤄진 만큼 2분기까지는 ESS업체들의 실적이 부진하겠지만, 전문가들은 3분기부터는 수주가 본격화되면서 업체들의 실적 성장이 이뤄질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화재 이전보다 4배가량 오른 ESS 보험료, 2017년 8월부터 올해 5월까지 발생한 23건의 화재에 대한 보험사의 구상권 청구 가능성 등 업계의 고민도 남아있다. 

 

LG화학 오창공장에서 임직원들이 전기차 베터리를 점검하고 있다 / 제공=LG화학

앞서 삼성화재는 LG화학을 상대로 구상권 청구 소송을 제기했다. 삼성화재는 LG화학 배터리가 들어간 ESS 화재로 설치 회사에 보험금을 지급하게 되면서 구상권 청구 소송을 제기한 것이다. 

보험사는 화재가 발생하면 보험 가입자에 보상액을 지급한 뒤 화재 원인을 파악해 원인 제공자에 구상권을 청구한다. 다른 보험사들 또한 ESS업체들을 상대로 구상권을 청구할 가능성이 남아있다.

화재 이전보다 4배가량 오른 보험료, 명확하지 않은 안전기준도 풀어나가야 할 과제다.

한 업계 관계자는 "사업주는 설치를 위한 대출을 받기 위해 보험에 가입해야 하는데, 설치자 입장에서는 4~5배가량 오른 보험료로 ESS 구축 비용이 늘어 부담을 느끼며 망설이고 있다"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는 "한국 ESS 제품에 대한 신뢰성 회복이 우선인 만큼 관련 인증 강화가 필요하다"며 "제품 외 시공에도 구체적이고 명확한 안전 기준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앞으로 일본 수출 제재가 ESS를 포함한 배터리 업계에 번질 수 있다고 우려하지만 업계 관계자들은 배터리는 핵심소재의 일본 의존도가 낮고 소재를 다른 국가에서도 받을 수 있을 정도로 공급처가 다원화되어 있어 영향이 크지 않다고 설명했다.

이정민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