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양지원 기자] 영화 ‘나랏말싸미’는 세종대왕의 한글 창제를 둘러싼 하나의 ‘설’을 전면에 내세운 작품이다. 조선의 최고 자리에 오른 임금과 가장 낮은 자리였던 스님이 만나 ‘우리말’을 만들기 위해 혼신의 힘을 다한 모습을 드라마틱하게 그려낸다.

극심한 가뭄에 시달리고 있는 조선, 세종(송강호)은 기우제를 지내다 화를 낸다. 온통 한문인 축문을 신령이 어찌 알아듣겠냐며 우리말로 풀어 읽으라고 명령한다. 우리말로 읊는 순간 신기하게도 하늘에서 단비가 내린다.

세종은 온통 한문으로 이뤄진 언어에 신물을 느낀다. 백성들이 알지 못하는 ‘글’이 무슨 의미가 있겠냐며 신경이 곤두선다. 신하들에게 새 글자를 만들어보자고 하지만 문자와 권력을 독점한 이들이 도울 리 없다.

그러던 어느 날 소헌왕후(전미선)의 도움으로 신미 스님(박해일)을 만나게 된다. 신미 스님은 산스크리트어·티베트어에 능통한 인물로 세종과 제자들과 함께 소리글자를 연구하게 된다. 그 과정에서 수많은 갈등과 장애물을 만난다.

‘나랏말싸미’는 세종대왕이 집현전 학자들과 훈민정음을 창제했다는 역사와 달리 ‘나랏말싸미’는 가장 높은 임금과 유교 사상으로 천대 받던 스님의 협업 아래 ‘우리말’이 만들어졌다는 가설을 내세운다.

하나의 가설을 극화함으로써 주는 반전과 재미가 있다. 세종과 신미 스님, 세종의 두 아들 수양(차래형)과 안평(윤정일)이 함께 한글을 만들어가는 과정이 흥미롭다. 한글이 얼마나 체계적인 과정을 통해 완성됐는지를 보여준다. 우리말 한글이 얼마나 간결한 글자인지를 알려주기도 한다. ‘ㄱㅁㄷ(고맙다)’ ‘ㅋㅋㅋ(큭큭큭)’라며 마당에 새긴 초성글자만으로 뜻이 통한다는 걸 알려주는 장면이 대표적이다.

영화 '나랏말싸미' 리뷰.

마치 현 시대를 스크린에 그대로 옮겨놓은 듯한 화면 구성 역시 훌륭하다. 최초로 스크린에 담긴 해인사 장경판전을 비롯해 전국 각지를 돌며 우리나라의 아름다운 풍경을 고스란히 담았다.

배우들의 연기 역시 흠잡을 데가 없다. 세종으로 분한 송강호는 한 나라의 임금이 겪는 고뇌를 심도 있는 연기로 표현한다. 특히 한 인간으로서 세종에 초점을 맞추며 기존의 왕 캐릭터와 다른 면모를 보여준다. 박해일은 꼿꼿한 신념을 지닌 신미 스님을 통해 극을 휘어잡는 연기를 펼친다. 소헌왕후로 분한 고(故) 전미선 역시 현명하고 능동적인 캐릭터를 표현하며 극에 힘을 불어넣는다.

다만 다소 교과서적인 전개가 아쉬움을 남긴다. 전체적으로 느린 호흡의 영화다보니 중간 중간 지루함을 자아낸다. 자극적인 설정이 전혀 없는 탓이기도 하다. 24일 개봉. 110분. 전체 관람가.

사진=메가박스중앙(주)플러스엠 제공 

 

양지원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