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배터리 업계, 대체품 마련 위해 국산화율 제고 총력
서산 대산석유화학산업단지 /사진=연합뉴스

[한스경제=김창권 기자] 일본이 한국을 '화이트리스트' 명단에서 제외하면서 자동차용 배터리나 화학제품에도 영향이 미칠 것으로 보여 관련 업계가 긴장하고 있다.

특히 전기차 배터리용 일부 소재는 일본산을 대체할 제품을 찾기가 쉽지 않아 단기적으로 상당한 충격을 받을 수 있다. 하지만 업계는 대체수입처를 발굴하거나 국산화율을 높이는 등 나름의 대비를 해와 중장기적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했다.

4일 에너지 전문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배터리 셀을 감싸는 파우치, 양극재와 음극재를 접착시키는 고품질 바인더, 전해액 첨가제 등은 일본 의존도가 매우 높은 편이다.

이중 알루미늄 파우치는 일본의 DNP와 쇼와덴코가 대표적으로 전세계 점유율 70%를 차지한다.

국내에서는 율촌화학이, 중국에서도 일부 업체들이 파우치를 제조하지만, 전기차 배터리용은 일본제품을 대체할 수 없는 것으로 알려져 배터리업체들은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이와 관련, 대형 배터리 3사가 파우치 국산화 방안의 하나로 율촌화학과 접촉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오기도 했지만 SK이노베이션은 "국내 소싱(구매)은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부인한 상황이다.

다만 배터리 4대 소재로 불리는 양극재, 음극재, 분리막, 전해액은 일본 의존도가 낮은 것으로 알려졌다.

배터리 3사는 오는 29일 한국이 백색국가 제외가 시행될 것에 대비해 소재 내재화율(국산화율)을 높이거나 거래처를 다변화하는 데 힘을 쏟고 있다.

먼저 LG화학은 경북 구미에 양극재 공장을 건설하며 국산화율을 높이기 위한 방편으로 대응하고 있다.

SK이노베이션은 분리막 생산라인을 조기 시험 가동하며 내재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삼성SDI는 지속해서 소재 이원화 전략을 취하고 있다.

화학업계는 기초소재 및 스페셜티 케미컬(기능성 화학제품)을 생산할 때 일본산 원료를 사용한다.

현대경제연구원의 분석에 따르면 화학공업 또는 연관공업의 생산품의 지난해 대일 수입액은 5억4천만달러로 전체 수입액의 98.4%에 달한다.

정부도 백색국가 제외로 가장 영향받을 업종 중 하나로 화학을 지목했다. 정부는 일본이 한국을 백색국가에서 배제하면서 통제할 수 있는 857개 품목 중 159개를 집중관리 대상으로 분류했는데 이 가운데 화학제품이 40여개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업계는 일본산 제품의 수입 절차가 복잡해지고 통관이 까다로워지면 당장 수급에 차질을 빚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하지만 1차 타깃이었던 반도체 소재와 같은 사태가 재현되진 않을 전망이다. 고순도 불화수소(에칭가스), 플루오린 폴리이미드, 포토리지스트처럼 일본에서만 생산하는 품목이 아니고, 일본 수출이 계속 어려워질 경우 중동, 미국, 중국 등에서 제품을 수입하면 되기 때문이다.

한편 정유업계는 일부 일본산 촉매제를 쓰고 있지만 대체 가능한 항목이어서 별다른 영향이 없을 것으로 파악했다.

김창권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