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일본 의존도 낮은 산업군인 데다 대체재 충분
시멘트 관건이나 심각한 영향은 없다는 관측 우세
사진은 기사내용과 관계 없음./사진=연합뉴스

[한스경제=황보준엽 기자] 일본의 수출규제로 한일 양국간 대립이 격화되며, 일본산 원료를 사용하는 산업계에 경고등이 켜졌다. 반면 건설업계만큼은 이 영향에서 벗어나 있다는 평가다. 당초 일본 의존도가 낮았던 산업군이었던 데다, 대체재까지 충분하다는 이유에서다.

28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자국 기업들을 상대로 한 한국 대법원의 일제 강점기 강제징용 피해자 손해배상 판결이 나오자 즉각 반발하며, 보복카드로 수출규제를 꺼내들었다. 이후 한국의 지소미아 폐기 선언 이후 양국간 갈등의 골은 더욱 깊어졌다.

양국의 대립 속 포토레지스트와 고순도 불화수소, 플루오린 폴리이미드 등 핵심 원료의 수입이 틀어 막힌 반도체·디스플레이 업계의 긴장감이 커진 상황이다. 더욱이 3개 소재 품목 외에 추가로 규제품목 발표를 강행할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 나옴에 따라, 미칠 파장에 산업계는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반면, 건설업계는 수출규제에 따른 타격은 없을 것이라는 평가다. 건자재 등은 일본산보다 저렴한 중국산을 선호해 왔고 건설기계 등은 독일 등 유럽산 제품도 충분하기 때문이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일본이 수출규제를 한다고 하더라도 국내 건설업계로의 타격은 미미할 것"이라며 "건설자재 등은 일본산이 비싸 중국산 또는 국내산을 선호했었고, 건설기계도 타국에서 생산하는 것이 많다"고 말했다.

다만 관건은 석탄재 등 시멘트 원료 수입 건이다. 한국시멘트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315만톤이 시멘트 원료로 사용됐으며 그중 128만톤(40.6%)이 일본에서 수입된다. 석탄재는 점토와 더불어 시멘트 생산 필수 원료다.

국내에서도 석탄재가 생산되지만, 낮은 매립비로 내수에는 한계가 있다. 국내 화력발전소가 석탄재를 시멘트업계에 넘기려면 처리비와 물류비로 톤당 2만~2만5000원의 비용을 시멘트업계에 지불해야 하는 반면, 매립비용은 절반인 1만원대이기 때문이다. 발전소 입장에서는 석탄재를 시멘트업계에 넘기기보다 매립하는 일이 더욱 경제적이다. 시멘트업계가 일본산 석탄재 수입에 의존했던 것도 이 이유다.

결국 일본산 석탄재 수입 규제는 시멘트 수급 불안정을 불러오고, 국내 시멘트를 주로 사용하는 건설업계가 타격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는 우려가 나온다.

그러나 건설업계에서는 국내 시멘트업계가 발전사와 협력해 국내산 석탄재의 사용을 늘리고, 다른 대체재를 구하겠다고 공언한 만큼 큰 영향이 없을 것이라는 의견이 많았다.

한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일본 석탄재 수입이 일시 중단된다면 가격상승의 우려가 있겠지만, 국내 업체들도 내부 석탄재와 대체재 활용을 극대화하겠다 했으니, 조금의 가격 상승은 있을지언정 시멘트 공급 부족 사태까지는 올 거라 생각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황보준엽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