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여성, 남성 비해 의료기관 이용률 높아
고려대 안산병원 이상헌 교수 “자가훈련이 근본 해결방법”

[한스경제=홍성익 보건복지전문기자] ‘긴장형 두통’은 두통이 주로 머리 양측 위치에서 발생하며, 경도 또는 중등도의 조이는 느낌을 유발하는 비박동성 두통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일반 인구의 평생 유병률이 30~78%에 달하는 매우 흔한 질병으로 편두통과 달리 유년기와 청소년기에 시작하는 경우는 드물고 중년기에 발생하는 것이 보통이다.

남녀 간의 유병률 차이는 없어 보이나 여성이 남성에 비해 의료기관 이용률이 높아 통계적으로 빈도가 높게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긴장형 두통/제공=고려대 안산병원

긴장형 두통은 일상 신체활동에 의해 악화되지 않는 것이 특징이며, 그 정도가 다소 경미해 정확한 발병 빈도를 측정하기가 힘들다. 또한 대부분의 환자들은 의사의 처방 없이도 약국에서 사서 복용할 수 있는 약물로 대중 치료가 가능하기 때문에 더욱 빈도 측정이 어렵지만, 편두통과 더불어 가장 흔히 발생하는 두통임에는 틀림없다. 긴장형 두통은 긴장성 두통, 근수축 두통, 정신근육 두통, 스트레스 두통, 보통 두통, 본태 두통, 특발 두통으로 불리기도 한다.

긴장형 두통의 원인은 원인이 뚜렷하지 않은 특발성, 말초 통증기전, 중추 통증기전, 심인성이 있을 수 있으며 키보드 작업을 하는 사무업무 종사자에게 흔히 보는 근육 스트레스 및 두통에 대한 약물 과용 등이 있다. 또한 운동부족, 혹은 과도한 근육 사용, 좋지 못한 자세의 유지 등으로 인해 머리 주위 근육이 지나치게 긴장하기 때문에 발생할 수도 있다.

대부분의 긴장형 두통의 경우 양측성 통증이며, 흔히 후두부와 후경부, 측두골, 전두골의 통증이 심하거나 때로는 광범위하게 두정부까지 통증이 뻗쳐오는 느낌을 갖는다. 통증의 성격은 머리를 쥐어짜는 듯한 느낌, 조이는 또는 내려 누르는 듯한 느낌, 머리가 가득 차 있는 듯한 느낌, 터져 나갈 듯 하거나 띠를 두른 듯한 느낌 등 다양한 종류의 통증과 발작이 겹쳐 오기도 한다. 증상의 시작은 편두통보다 완만하게 시작되며, 일단 두통이 시작되면 증상이 다소 좋아졌다 나빠졌다 하면서 수주일, 수개월 지속되기도 한다.

이상헌 고려대 안산병원 신경과 교수는 “치료는 일단 안정을 취하는 것이 효과적이고, 안정을 취하는 것만으로 해결되지 않을 경우에는 근육 이완제나 진통제, 일부 정신과 약물로 치료할 수 있다”며, “약물 치료와 함께 초조해 하지 말고 스트레스가 쌓이지 않도록 느긋한 자세를 가지는 것도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최근에는 머리의 혈관을 지배하는 자율신경계의 신경 일부를 치료하는 신경치료나 긴장형 두통을 일으키는 근육을 찾아서 치료하는 방법 등 여러 가지 치료법이 시행되고 있다.

긴장형 두통 환자의 보조요법으로 자주 이용되는 것은 환자 스스로 근 이완을 유도해 낼 수 있는 자가조절법, 운동요법, 물리치료, 심리 정신 치료, 신경 및 근육차단, 특수요법 등을 들 수가 있다.

약물 치료는 통증에 관한 조절, 근 수축에 따른 근 이완제 및 불안, 우울에 따른 진정제, 항우울제 투여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긴장형 두통은 비스테로이드성 진통소염제로 통증의 제거가 가능하며, 자주 사용할 수 있는 약물로는 아스피린, 아세트아미노펜, 이부프로펜을 들 수 있다. 불안이나 항우울증에 대한 약물 치료는 근 이완 및 항불안 약리 작용을 갖고 있는 벤조다이아제핀이 주로 사용되는데, 긴장형 두통의 원인 중 불안이나 기타 정신적 장애로 발생하는 두통은 진통소염제만으로는 충분한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가 없으므로, 항우울제를 같이 복용할 수 있다.

이상헌 교수는 “긴장성 두통의 예방은 무엇보다 과한 긴장을 초래할 수 있는 비생리적인 자세 이상을 갖지 않도록 하고, 적당한 휴식과 규칙적인 생활이 중요하다”며, “가족 관계나 대인관계, 직장 생활에서 오는 갈등이나 스트레스 등을 해소할 수 있는 자가훈련이 근본적인 해결방법이 될 수 있다”고 조언했다.

홍성익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