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주말에 슬그머니 올린 경기도 버스요금…결국 부담은 도민 몫”
경기도민 청원 9천여명 육박 “서비스도 안 좋은데, 왜 경기도만?”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지난 5월14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회의실에서 이해찬 대표,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과 버스 파업 관련 논의 후 버스 요금 인상에 사과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스경제=최준석 기자] 경기도가 9월28일부터 버스요금 인상방침을 밝히자 반대하는 경기도민 청원이 9천여명을 돌파했다.

이에 경기도는 뒤늦게 도민 피해를 줄이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라며 적극 해명에 나섰지만 경기도민들은 서울과 인천을 제외한 경기도만의 버스요금 인상은 여전히 “납득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29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버스요금의 인상을 하루 앞둔 27일, ‘버스요금 인상, 도민들의 피해를 줄이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입니다’라는 제목의 긴급 보도자료를 통해 버스요금 인상의 불가피성을 적극 해명했다.

이는 경기도 버스요금 인상을 놓고 ‘도민 청원’이 지속해서 제기되는 등 반발 여론이 심화되자 이재명 경기지사를 비롯한 경기도가 심각성을 인식한 것 때문으로 보인다.

버스요금 인상소식이 알려지자 경기도청 웹사이트 `도민 청원 게시판`에는 지난달 30일 경기도 버스요금 인상 반대 청원이 시작돼 이날까지 9천여명이 서명에 참여해 대다수 도민들이 질책 섞인 반대의견을 드러냈다.

취재진이 도민게시글을 살펴본 결과, 버스 요금 인상 반대의 주된 이유는 ‘버스 배차 간격도 못 맞추는가 하면 난폭운전과 운전기사의 불친절 등 서비스 질 개선이 안 됐다’는 이유가 가장 많았고 ‘(서울 인천과 달리)왜 경기도만 버스요금을 인상하냐’, ‘요금 인상 폭이 너무 높다’는 항의의 목소리들도 이어졌다.

이러한 버스 서비스의 낮은 질과 관련해 경기도는 ▲취약층 교통비 부담 완화 ▲출퇴근 편의 증진 ▲민원 감소 ▲안전성 향상 ▲쾌적성·편의성 증진 5대 분야 20개 사업을 추진하는 등 서비스 질을 올해 9월부터 2022년까지 높이겠다고 밝혔다.

요금을 올리지 않는 서울·인천시와의 형평성에 대해 경기도는 “서울·인천시는 이미 준공영제를 도입해 주 52시간제를 시행 중으로 인상요인이 없는 반면, 경기도 시내버스는 민영제로 운영돼 인력 충원에 따른 비용을 업체들이 부담하는 구조”라는 입장을 밝혔다.

이에 따라 “2015년 이후 4년 만의 요금 인상인 데다 재원이 제때 확보되지 않으면 버스 운행이 22.8% 감축되고 노사갈등과 파업 등으로 이어져 도민들에게 피해가 돌아옴에 따라 요금 인상이 불가피했다”고 덧붙였다.

지방자치단체의 과도한 재정 투입의 원인으로 논란이 되어온 버스 준공영제 도입과 관련해선 “지난 5월14일 이재명 경기도지사와 김현미 국토교통부장관이 경기도의 시내버스 요금 인상 대신 광역버스를 국가 사무로 전환해 준공영제를 추진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경기도 시내버스 요금 얼마나 오르나?

4가지 시내버스 중 `일반형 시내버스`는 교통카드 기준 1천250원에서 1천450원(현금 기준 1천300원에서 1천500원)으로 200원 오른다.

`좌석형 버스`는 2천50원에서 2천450원(현금 2천100원에서 2천500원), `직행좌석형 버스`(광역버스)는 2천400원에서 2천800원(현금 2천500원에서 2천900원)으로 400원씩 오른다.

`경기순환버스`는 2천600원에서 3천50원으로 450원 인상되며 현금을 낼 때는 2천700원에서 3천100원으로 400원 오른다.

9월28일 첫 차부터 경기도 버스요금이 인상된다. 기본요금 조정표. /경기도

최준석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