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중증응급환자 진료 지정 36개 권역응급의료센터…중증환자 비율 10% 안 돼
권역응급의료센터 36곳 중 13곳 경증환자비율 절반 이상
지역응급의료센터 경증환자 비율, 최대 91.5%

[한스경제=홍성익 보건복지전문기자] 최근 4년간(2016년부터 2019년 상반기) 응급실 환자 100명 중 53명은 경증환자, 중증환자는 7명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상희 의원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상희 의원(더불어민주당)이 1일 중앙응급의료센터(국가응급진료정보망, NEDIS) 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4년간(2016년부터 2019년 상반기) 전국 권역응급의료센터 및 지역응급의료센터 방문환자’ 자료에 따르면 최근 4년간 응급실 방문환자 수는 2016년 550만 명, 2017년 554만 명, 2018년 578만 명, 2019년 상반기 276만 명으로 지속 증가추세에 있다.

이 중 경증환자의 비율은 2016년 304만 명으로 전체 환자의 55.4%에 달했고, 2017년 305만 명 55%, 2018년 318만 명 55%, 2019년 상반기 148만 명 53.5% 점차 감소 추세를 보였다.

응급실을 이용해야 할 중증환자의 경우에도 2016년 8.3%, 2017년 7.4%, 2018년 6.9%, 2019년 상반기 6.9%로 지속 감소 추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중증환자로 의심’되는 환자가 증가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2016년 36.3%, 2017년 37.6%, 2018년 38.1%, 2019년 상반기 39.6%로 경증이라고 확정할 수는 없지만 중증으로 분류하기도 애매한 환자들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함께 현행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권역응급의료센터는 상급종합병원이나 300병상을 초과하는 종합병원 중 지정하는데, 이들은 ‘중증응급환자 중심의 진료’를 하도록 법에 명시돼있다. 전국적으로 36개 의료기관이 권역응급의료센터로 지정돼 있다.

권역응급의료센터의 경우, 경증환자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조금 낮은 편이지만 전체적인 추세와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6년 총 179만 명이 방문했는데 이 중 경증환자가 89만 명으로 49.7%, 중증환자는 19만 명으로 11%였고, 2017년 179만 명 중 경증환자 46.3%, 중증환자 10.4%, 2018년 188만 명 중 경증환자 45.7%, 중증환자 9.6%, 2019년 상반기 91만 명 중 경증환자 43.9%, 중증환자 9.6%로 나타났다. 중증환자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긴 하지만 전체적인 추세와 유사하여 법에 명시된 업무가 무색할 지경이다.

중앙응급의료센터

◇ 권역응급의료센터 36곳 중 13곳 경증환자비율 절반 이상…서울대병원, 경증환자 36.9%·중증환자 12.2%

36개 권역응급의료센터별 현황을 살펴본 결과, 이 중 1/3인 13곳은 경증환자 비율이 절반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순천향대 부속 부천병원은 응급실 방문환자 3만1810명 중 경증환자가 1만9332명으로 60.8%나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목포한국병원 57.7%, 의료법인 안동병원 55.9%, 조선대병원 55.4%, 단국대의대부속병원 54.8%, 차의과대 부속 구미차병원 54.1%, (학)성균관대 삼성창원병원 53.9%, 가톨릭대 의정부성모병원 53.4%, 경북대병원 52.6%, (학)울산공업학원 울산대병원 52.0%, 인하대의대부속병원 51.9%, 제주한라병원 50.7%, (의)의료재단길병원 50.4% 순으로 나타났다.

빅(big)5 병원 중 유일하게 권역응급의료센터로 지정받은 서울대병원의 경우, 총 3만5887명의 방문환자 중 1만3248명이 경증환자로 36.9%를 차지하는 반면 중증환자는 4368명으로 12.2%로 나타났다.

◇ 지역응급의료센터 경증환자 비율, 최대 91.5%

제공= 중앙응급의료센터

전국적으로 155개 의료기관에 지정돼 있는 지역응급의료센터는 상황이 더욱 나빴다. 올해 상반기에 경증환자가 가장 많았던 지역응급의료센터 상위 10곳을 살펴본 결과, 하남성심병원의 경우 총 1만149명의 환자가 응급실을 방문했는데 이 중 9282명인 91.5%가 경증환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제일병원 역시 1만2612명 중 1만1039명이 경증환자로 87.5%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복지부는 2015년 메르스사태 이후 후속조치로 응급실 과밀화 해소방안을 발표한 바 있다. 당시 복지부는 비응급환자나 경증환자가 대형병원 응급실로 유입되는 것을 줄여나가겠다고 했으나, 경증환자 비율은 크게 줄지 않았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김상희 의원은 “2015년 복지부가 발표했던 내용 중 ‘환자 스스로 대형병원 응급실을 찾을 때에는 응급실 전문의료인력이 사전 분류단계에서 중증도를 판단해 비응급 환자는 중소병원 응급실로 회송토록 한다’던 계획은 4년이 지난 지금 소리 소문없이 사라졌다”며, “의료전달체계 개편안 시행과 함께 응급의료체계도 손을 봐야 대형병원 쏠림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제공= 중앙응급의료센터
제공= 중앙응급의료센터

홍성익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