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황보준엽 기자] 정부가 대도시권 광역교통망을 철도 중심으로 재편한다. 주요 거점을 30분대에 연결하는 광열 철도망을 구축하고, 신교통수단인 트램-트레인도 도입한다는 방침이다. 철도 뿐 아니라 도로망의 기능과 버스 등 대중교통의 공공성을 강화할 계획이며, 수도권 외곽 순환고속도로망을 조기에 완성하고 광역버스를 대폭 늘려 운행한다.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는 31일 10시30분 세종문화회관에서 ‘광역교통 2030’을 발표했다.

이번 방안은 '광역거점간 통행시간 30분대로 단축', '통행비용 최대 30% 절감', '환승시간 30% 감소'의 3대 목표를 토대로 추진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세계적 수준의 급행 광역교통망 구축, 버스·환승 편의증진 및 공공성 강화, 광역교통 운영관리 제도 혁신, 혼잡·공해 걱정 없는 미래교통 구현의 4대 중점 과제와 대도시권 권역별 광역교통 만든다는 구상이 담겼다.

먼저 급행 광역교통망을 구축하기 위해 수도권 주요거점은 광역급행철도로 연결한다. 정부는 수도권급행철도(GTX) A노선(2023), 신안산선(2024)은 계획대로 준공하고, GTX B·C노선은 조기 착공을 추진할 계획이다.

특히 서부권 등에 신규노선도 검토되며, 4호선(과천선) 등 기존 광역철도 노선을 개량해 급행운행을 실시한다. 인덕원~동탄 등 신설되는 노선도 급행으로 건설해 급행 운행비율을 현재의 2배 이상(16%→35%)으로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트램과 트램-트레인 등 신교통수단도 도입한다. 성남 트램 등 GTX 거점역의 연계 교통수단 및 대전 2호선 트램,위례 신도시 트램 등 지방 대도시와 신도시의 신규 대중교통수단으로 트램을 활용할 계획이다. 도시 내부에서는 트램으로, 외곽지역 이동시에서는 일반 철도로 빠르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 트램-트레인은 접근성과 속도 경쟁력을 동시에 갖춰 도입이 적극 검토될 예정이다.

교통량 분산을 위해 도로 간선기능 회복도 시도한다. 제1순환고속도로에서 상습정체를 일으키는 구간 2곳(서창~김포·판교~퇴계원)의 복층화를 검토하고, 제2순환고속도로는 2026년 전구간 개통을 목표로 추진할 계획이다.

주요 간선의 상습정체구간 해소를 위해 대심도 지하도로 신설도 검토된다. 지하부는 자동차, 지상부는 BRT·중앙버스차로 등 대중교통차로로 활용하는 방식이다.

광역버스(M버스)는 운행지역을 지방 대도시권까지 확대한다. 정류장 대기 없이 M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전 노선으로 예약제를 확대할 계획이다.

3기 신도시로 선정된 남양주 왕숙, 인천 계양, 부천 대장 등에는 지하철 시스템을 버스에 도입한 S-BRT를 구축한다. 광역BRT 구축 사업을 지속 확대하는 동시에 장기적으로 BRT를 S-BRT 수준으로 높여 나갈 예정이다.

또 고속 BTX서비스를 도입해 기존 광역버스 보다 이동시간을 30% 이상 단축할 계획이다. 교통비를 최대 30% 절감할 수 있는 광역알뜰교통카드를 2020년부터 시행하고, 정류장 대기시간과 차내 혼잡을 줄이기 위해 광역버스 준공영제를 같은해 시범 도입한다.

아울러 쪼개기·연접개발 방식으로 광역교통개선대책 수립을 회피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선대책의 수립기준을 현행 100만㎡ 또는 인구 2만 이상에서 50만㎡ 또는 1만 이상으로 낮춘다.

신도시 초기 입주단계에서 나타나는 교통불편 해소에도 나선다. 광역교통특별대책지구 제도를 도입, 광역버스 운행, 환승정류장 설치 등 즉시 시행 가능한 특별대책을 수립·시행할 계획이다.

한편 광역교통 2030이 차질없이 추진되면, 대도시권의 광역교통 여건이 획기적으로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대광위는 간선급행망의 조기 구축 및 연계교통 강화로 수도권 내 주요 거점과 서울 도심을 30분대로 단축될 것이라 전망했다.

황보준엽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