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보험업계 "금리 너무 낮아 전반적으로 어려워"
생보업계가 손해율 상승과 저금리 영향 등으로 보험료 인상을 단행하는 기조를 보이고 있다./ 그래픽 김민경기자

[한스경제=조성진 기자] 손해보험에 이어 생명보험 또한 보험료 인상이 확대될 전망이다.

손보업계는 올해 초부터 자동차 보험료를 인상했다. KB손해보험은 지난 1월말 자동차보험료를 평균 3.5% 인상했다. 한화손해보험역시 지난 3일부터 개인용 차량 자동차 보험료 4.2%를 포함해 전체 평균 3.5% 수준으로 자동차 보험료를 인상했다. DB손보는 지난 4일 개인용 차량 평균 4.3%를 포함해 전체적으로 약 3.4% 보험료 인상을 단행했고 삼성화재와 현대해상 또한 기존대비 3.5%를 인상했다.

실손보험은 사상 최대 영업 적자를 예상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은성수 금융위원장이 보험사에 "착한실손(신실손)의 보험료를 1%대로 내릴 것"을 제시하며 사실상 보험료 통제에 나섰다. 사실상 손해율이 상이한 구실손(2009년 9월까지 판매된 상품)과 표준화실손(2009년 10월~2017년 3월까지 판매된 상품)에 인상폭을 강제하고 신실손(2017년부터 판매된 상품)마저도 보험료 인하를 압박한 것이다.

하지만 손보업계는 자동차 보험료 인상에 대해 '치솟는 손해율 상승'을 가장 큰 원인으로 꼽는다. 손보업계는 보험 가입 희망자의 문턱을 높이는 디마케팅(Demarketing)을 펼치는 등 손해율과 영업적자 감소를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보험료 인상은 불가피한 것으로 보인다.

보험연구원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기준 실손보험 누적 손해율은 130.9%로 2018년 121.8% 대비 9.1%p 상승했다. 지난해 실손보험 영업적자는 2조원으로 추산된다. 손해율이 100%를 초과했다는 것은 보험 가입자로부터 받은 보험료보다 내준 보험금이 더 많다는 의미이다.

생명보험업계 또한 사정은 마찬가지다. 우선 삼성생명의 종신보험 보험료가 최소 5%~최대 10%까지 오를 전망이다. 삼성생명이 오는 4월 1일부터 예정이율을 0.25%p 인하 결정했기 때문이다. 예정이율이란 보험사가 금융소비자에게 보험금·환급금을 지급할 때 적용하는 이율로 보험료 산정의 기준이 된다. 통상적으로 예정이율이 0.25%p 인하되면 보험료는 5%∼10% 상승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생명이 보험료 인상에 나서며 기타 생명보험사 역시 줄줄이 예정이율을 내릴 것으로 예상된다. 한화생명도 4월부터 예정이율을 인하할 예정이다. 교보생명도 4월에 0.25%p 내리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농협생명 역시 상품별로 0.25%p∼0.5%p 조정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생보업계의 예정이율 인하 배경에는 손해율 상승에 따른 실적 부진과 저금리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

삼성생명의 지난해 4분기 총 손해율은 2018년 대비 2.1%p 상승한 84.7%를 기록했다. 특히 실손보험 손해율은 124%로, 1년 전보다 8.3%p 상승했다. 같은 기간 생존손해율도 8%p 오른 102.6%를 기록했다.

한화생명의 지난해 당기순이익은 2018년 대비 81.7% 급감한 517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2018년 기준 6502억원에서 약 13배 이상 감소한 492억원을 기록했다. 농협생명 역시 지속적인 저금리 여파로 보험사 평균 운용자산이익률인 3~4%를 미치지 못하는 2.93%를 기록했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삼성생명 등 일부 생명보험사가 보험료를 올려 고객들의 부담을 가중시킨다는 것보다 보험업계가 전반적으로 어렵다는 사실 자체를 더 크게 고려해야 한다"며 "현재 금리가 너무 낮은 점 등이 보험료 인상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역대 최저금리(연 1.25%)를 이어가고 있는 정부는 기준금리 조정에 대해 신중한 입장이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지난 14일 코로나19에 따른 기준금리 인하 필요성에 대해 "앞으로 상황을 면밀히 지켜보겠지만 신중한 입장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이어 "지금 코로나19 사태가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어느 정도로 확산할지, 지속기간이 얼마일지 가늠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국내경제 영향을 예단하기에는 아직은 이르고, 지표로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다만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18일 국무회의에서 "비상한 상황에는 비상한 처방이 필요하다"며 "코로나19가 주고 있는 경제적 타격에 그야말로 비상경제 시국이라는 인식을 갖고 엄중하게 대처해야 한다"고 말했다.

 

조성진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