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올림픽위원회(IOC)가 코로나19 확산 속에 도쿄올림픽 취소 내지는 연기를 결정할지 주목 된다. /AP 연합뉴스

[한스경제=박대웅 기자] "7월 도쿄 올림픽 괜찮을까."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하 코로나19)이 전 세계로 확산하면서 7월 24일 개막을 앞둔 2020 도쿄올림픽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24일 오후 9시 기준 일본 내 코로나19 확진자는 크루즈 탑승자 포함 800명을 넘어서고 있다. 비록 증가폭은 다소 둔화됐지만 감염자의 절대수치는 계속적으로 늘어나 도쿄올림픽이 코로나19 바이러스의 희생양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졌다. 도쿄올림픽 조직위원장 모리 요시로는 "올림픽 취소나 연기는 고려하지 않고 있다는 사실을 분명히 한다"고 공식입장을 내놨지만, 도쿄올림픽에 대한 의심의 눈초리는 쉽게 걷히지 않고 있다.
 
이런 이유로 일각에선 올림픽 취소 내지는 연기, 나아가 개최지 변경을 주장하는 목소리가 흘러나온다. 그렇다면, 올림픽 취소 내지는 연기는 누가 결정하는 것일까. 결론부터 말하면 최종 결정권자는 국제올림픽위원회(IOC)다. 근거는 올림픽헌장 제36조다. 이 문구에 IOC와 올림픽 개최국은 협약서에 나온 의무를 따르게 돼 있다. 협약서는 IOC가 올림픽을 취소할 수 있는 상황을 언급한다.
 
협약서는 전쟁이나 소요 사태와 같이 객관적으로 올림픽을 수행할 수 없는 상황을 특정해 규정하고 있다. 이 밖에도 '참가자들의 안전이 심각하게 위협받거나 위험한 상태라고 IOC가 믿을만한 근거가 있을 때' IOC 제량으로 취소한다. 코로나19와 같은 전염병도 이 경우에 속한다.

스위스 제네바에 있는 세계보건기구(WHO) 전경. /AP 연합뉴스

문제는 '믿을 만한 근거'를 누가 제공하느냐다. 코로나19와 같은 전염병의 경우라면 세계보건기구(WHO)의 판단이 중요하다.
 
실제로 WHO는 지카 바이러스에 대한 우려가 컸던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당시 올림픽 개최가 적합한지를 따져 판단을 내린 바 있다. 당시 WHO는 '국제 공중보건 위기상황'을 선포하고 심각한 상황이라고 봤다. 개막 3개월여를 앞두고 모인 공중 보건 전문가 150명은 "올림픽을 미루거나 개최지를 바꿔야 한다"고 WHO에 공개서한을 전달하기도 했다.
 
올림픽 개막 약 2개월을 앞둔 2016년 6월, WHO는 3차 긴급위원회를 열고 최종 결정을 내렸다. "올림픽으로 인한 추가 전파 위험은 매우 낮다"는 게 WHO의 판단이었다. 물론 단서 조항이 있었다. WHO는 조직위에 '모기 방역 강화와 감염 정보의 투명한 공개'를 요구하면서 '모기와 성접촉이 주요 감염 경로인 만큼 올림픽 참가자들에게 살충제와 콘돔을 차질없이 지급, 확보하라'는 지침을 내렸다. 결국 올림픽은 예정대로 열렸다.
 
만약 WHO가 올림픽 취소 내지는 연기를 결정했다면 어땠을까. 이 경우라도 IOC는 의무적으로 WHO의 권고를 따르지 않아도 된다. 강제성이 없는 셈이다.
 
도쿄올림픽을 바라보는 WHO의 판단은 어떨까. 기본적으로 WHO는 "사람이 많이 모이는 행사는 감염에 취약한 사람에게 위험하다. 잠재적으로 국제적인 감염병 유행을 초래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다만 도쿄 올림픽 취소와 관련해서는 "행사를 취소할지 안 할지 결정은 WHO의 역할이 아니며 주최국이 결정할 일"이라고 선을 그었다.
 
하지만 코로나19가 지카 바이러스보다 더 심각한 문제라는 게 많은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지카 바이러스가 사람간 성적 접촉으로만 감염돼 격리 조치가 필요 없는 반면 코로나19는 침방울, 비말로도 감염될 수 있어 격리가 필요하다. 전염성이 더 강한 코로나19가 전 세계를 휩쓸고 있는 가운데 IOC가 어떤 판단을 내릴지 주목된다.

박대웅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