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수요자 발길 끊어, 중개업소 10곳 중 1곳만 거래
확산 추세 변화 없다면 3월 거래량 영향 불가피
서울 송파구 헬리오시티 내 중개업소 전경. /황보준엽 기자

[한스경제=황보준엽 기자] 코로나19 여파로 부동산 중개업자들이 신음하고 있다. 정부의 부동산 규제 탓 거래량이 감소하는 가운데 코로나19 사태가 심화되면서 집을 팔려는 사람도 사려는 사람도 줄어서다. 현장에서는 코로나19의 확산추세가 지속된다면 거래량이 더욱 움츠러 들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거래량 급감을 단순히 전염병과 같은 요인으로만 설명하기는 어렵다는 의견도 존재한다. 앞서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유행 당시에는 거래가 부진하기는 커녕 오히려 1만건 이상의 높은 거래량을 기록했기 때문이다. 

27일 서울시 강남구 역삼동 A공인중개사 사무소 관계자는 "코로나 사태가 심각해지면서 거래가 거의 없다. 거래가 없으니 문을 닫아 놓는 곳도 늘어가고 있다"고 말했다. 일반적으로 대면으로 이뤄지는 부동산 거래 특성상 코로나가 확산되자 수요자들이 발길을 끊은 것이다. 국내 코로나19 확진자는 총 1595명이며, 사망자는 총 13명에 이른다. 매일 수백여명씩 확진자가 늘어나는 실정이다. 이날만 하더라도 신규환자가 334명 늘었다.

상황이 이렇자 거래량도 급감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시스템을 분석한 결과 이날 기준 2월 서울 아파트 매매거래건수는 2597건으로 전달(5571건) 대비 53%가량 감소했다. 하루 평균 96건의 거래가 이뤄진 셈인데, 이 추세라면 이달 말까지 신고건수는 총 3000건 안팎에 그치며 지난해 3월 이후 거래량으로는 1년여만에 최저치를 기록할 전망이다. 

이처럼 거래가 부진하자 공인중개사들이 '기근'을 겪고 있다. 한국공인중개사협회 집계에 따르면 올해 기준 서울 내 중개업소는 2만5402개소로, 이달 거래량이 반토막으로 줄어들면서 중개업소 10곳 중 1곳에서만 아파트 거래로 중개 수수료를 번 셈이다.

다만 아직 이달 거래량이 지표 상 전부 반영된 것은 아니다. 주택거래신고 기간은 계약후 60일 이내로 3월에 신고되더라도 2월 계약분은 계약일 기준 월의 거래건수로 집계되기 때문에, 이달 신고량이 추후 늘어날 가능성도 있다. 하지만 코로나19의 확산 추세에 변화가 없으면 3월 거래량은 더 낮아질 것이라는 게 현장의 예상이다.

송파구 B공인중개사 사무소 관계자는 "집을 사려고 하는 사람도 적고, 집을 매물로 내놨다고 하더라도 코로나 때문에 집을 보여주겠다고 하는 집주인이 없다"며 "확산이 계속되면 거래가 아예 끊기는 건 아닐지 걱정된다"고 설명했다.

메르스가 유행했던 당시(지난 2015년 5~6월)와는 전혀 다른 모습이다. 확진자가 세자릿수를 넘어가는 상황에서도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5월 1만176건, 6월 1만739건을 각각 기록하며 큰 타격을 받지 않았다.

이런 이유로 거래량 감소를 코로나19의 여파로만 해석할 수 없다는 의견도 나온다. 전염병이 아닌 12.16 부동산 대책 등 규제로 인해 수요가 얼어붙었다는 것이다. 부동산 업계 한 관계자는 "메르스 당시 거래량은 오히려 늘었다"며 "단순히 코로나로만 현재의 줄어든 거래량을 설명할 수는 없다. 규제 영향이 커 보인다"고 말했다.

서울 아파트 단지 전경. /연합뉴스

한편 문재인 정부는 지난 20일 19번째 부동산 대책을 발표함에 따라 수도권 등 전체적으로 거래량 감소가 퍼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이번 규제는 12.16 대책으로 인한 풍선효과로 수·용·성(수원·용인·성남) 등 수도권 지역이 상승하자 내놓은 경기권 저격용 규제이기 때문이다.

구체적인 규제 내용을 보면 조정대상지역 내에서도 주택담보대출 규제가 강화됐다. 현재 조정지역에선 LTV 60%까지 대출이 가능하지만 앞으로는 9억원 이하분 LTV 50%, 9억원 초과분 LTV 30%가 적용되게 됐다. 이 대출규제는 다음달 2일부터 시행예정이다.

황보준엽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