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지역금융 위축 방지 전제로 M&A 규제 합리화
대형 저축은행, 매물로 나온 저축은행 매력 없어
연체율과 건전성도 리스크
대형 저축은행들은 현재 매물로 거론되는 지방 저축은행에 관심을 보이지 않고 있다./연합뉴스

[한스경제=김형일 기자] 금융위원회가 올해 상반기 안에 저축은행 인수·합병(M&A) 규제 완화를 시사한 가운데 대형 저축은행들은 현재 매물로 나온 지방 저축은행들에 관심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5일 저축은행 업계에 따르면 금융위는 지난 2일 지역금융의 위축을 방지할 수 있는 보완방안을 전제로 저축은행 간 인수·합병 규제를 합리화하기로 했다. 그동안 저축은행들은 영업구역이 다른 저축은행 간 합병이 제한됐다. 또 동일 대주주의 3개 이상 저축은행 소유가 불가했다. 

금융위가 상반기 안에 인수·합병 규제를 완화하기로 하자 일단 저축은행들은 일단 반기는 분위기다. 수익 악화에 시달리는 지방 저축은행은 매각이 용이해지고 대형 저축은행은 영업권 확장이 가능해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대형 저축은행은 현재 매물로 나온 저축은행에는 관심을 보이지 않고 있다. SBI·OK·웰컴·페퍼·JT저축은행 등은 내부적으로 검토한 적이 없거나 관심이 없다고 입을 모았다.

현재 매각을 추진하는 저축은행은 부산을 연고로 두고 있는 DH저축은행과 솔브레인저축은행, 경북에 영업구역을 둔 대원저축은행 등으로 알려졌다. 

업계 1위 SBI저축은행은 전국 대부분의 영업권을 이미 갖고 있어 관심이 없다는 입장이다. SBI저축은행은 서울, 경기, 인천, 대전, 대구, 광주, 전주, 포항에 영업점을 두고 있다. 

OK저축은행과 웰컴저축은행, 페퍼저축은행, JT친애저축은행, JT저축은행은 검토하거나 언급된 적이 없다고 피력했다. 

대형 저축은행들이 현재 매물에 관심이 없는 이유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과 지역 연체율 영향 탓이다. 

저축은행 업계 관계자는 “이미 부산에는 BNK금융지주, 대구·경북에는 DGB금융지주가 해당 지역 여신을 워낙 잘하고 있어 수신 관련 점포 개설 말고는 경상도 영업권이 사실상 메리트가 없는 상황”이라며 “저축은행들엔 서울·경기지역 매물이 관심을 가질 만한 매력적인 매물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저축은행 업계 관계자는 “현재 경제 상황이 녹록지 않은 상황이고 특히 대구·경북은 코로나19로 인한 피해가 가장 큰 상황이라 일단 상황을 지켜보겠다”고 했다. 

지난해 3분기 서울 권역 저축은행 연체율은 3.7%, 경기·인천 지역은 4.3%에 불과했다. 반면 수도권 지역을 제외한 지방 저축은행 37곳의 지난해 3분기 연체율은 7.68%에 달했다. 전년 동기 대비 1.68%p 오른 수치다. 

비율이 낮을수록 여신 건전성이 양호하다고 판단되는 고정이하여신(NPL) 비율도 마찬가지다. 서울권역 저축은행의 고정이하여신비율은 4.9%, 경기·인천권역은 4.7%를 기록했다. 반면 부산·울산·경남·대구·경북·제주·전라권역 저축은행은 6.0%가 넘는 고정이하여신비율을 나타냈다.

한편, 현재 79개 저축은행은 서울 23곳, 인천·경기 19곳, 부산·경남 12곳, 대구·경북·강원 11곳, 광주·전남·전북·제주 7곳, 대전·충남·충북 7곳 등 영업권을 나눠갖고 있다. 

김형일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