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코로나19 확산에 국내 소비심리 감소
수수료 인하 여파로 카드론 꾸준히 증가
영세 소상공인 연체율 증가할까 우려
코로나19확산으로 자영업자들의 카드론 부실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연합뉴스

[한스경제=권이향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국내 소비심리가 크게 위축되면서 카드사들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국내 경기 전반에 코로나19가 본격적으로 영향을 미치면서 영세 소상공인들의 중심으로 카드론 연체율이 상승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고금리 장기대출인 카드론의 경우 제1금융권 문턱을 넘지 못하는 저신용자나 영세 자영업자들도 비교적 쉽게 대출을 받을 수 있어 코로나발 국내 내수 침체가 카드론 부실로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지적이다.

카드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9월 말 기준 국내 전업카드사 7곳의 카드론 취급액은 총 31조3471억3400만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 대비 3.86%(1조1654억1500만원) 증가했다. 지난 2017년과 비교하면 15.02%(4조938억7800만원) 올라 최근 3년 동안 증가세가 이어졌다.

이처럼 카드업계가 카드론 취급액을 확대한 이유는 정부의 가맹점 수수료 인하 정책의 영향이 크다. 가맹점 수수료 인하 등에 따른 수익 감소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고금리 장기대출인 카드론의 이자이익이 수익보전에 도움이 됐기 때문이다.

여신금융협회의 신용카드상품 공시에 따르면 올해 1월 기준 카드사의 카드론 평균 금리는 14.04%로 최고금리는 무려 20.88%나 됐다. 같은 기간 국내 5대 시중은행의 신용대출 평균 금리가 3.38%에 최고금리가 12.03%에 그쳤다는 점과 비교하면 최대 4배 가량 금리가 높았다.

카드사 관계자는 “정부의 가맹점 수수료 압박으로 수수료 부문에서 수익 창출이 어려워짐에 따라 카드대출에서도 카드론을 중심으로 영업을 공격적으로 확대한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문제는 카드대출 규모가 커지면서 대출 부실로 이어질 가능성도 덩달아 커졌다는 것이다.

지난해 9월 말 기준 7개 카드사의 건전성 지표인 고정이하여신은 총 1조3847억4200만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 대비 21.09%(2411억8700만원) 급증했다. 고정이하여신비율도 일제히 올라 각 회사별로 0.01~0.54%포인트 증가했다.

금융감독원이 지난해 9월 발표한 ‘2019년 상반기 신용카드사 영업실적’에서도 지난해 상반기 카드사의 연체율은 1.61%로 전년 상반기보다 0.14% 포인트 올랐다. 카드대출 부문만 놓고 보면 연체율이 0.23%포인트 오른 2.56%로 집계돼 연체율 상승폭이 더 커졌다.

이런 상황에서 엎친데 덮친 격으로 코로나19까지 확산되면서 국내 소비심리가 급속도로 위축되고 있다.

OECD에 따르면 지난달 한국의 소비자신뢰지수(CCI)는 한 달 전(100.0)보다 0.4포인트 떨어져 99.6으로 집계됐다. OECD 25개국 가운데 낙폭이 가장 컸다.

OECD는 한국은행의 소비자동향지수를 비롯해 각국에서 내는 심리지수를 국가 간 비교가 가능하도록 보정한 소비자신뢰지수를 산정·발표하고 있다. 보통 지수가 100 이하면 소비자들이 경기와 고용동향을 비관적으로 바라보고 있다는 의미다.

법무부와 여신금융협회 등에 따르면 2월 3주 영화 관람객은 1년 전보다 57% 줄었고, 놀이공원 입장객도 71.3%나 급감했다. 코로나19 바이러스 확산으로 사회적 거리두기 캠페인이 확산되면서 외부활동이 줄어든 탓이다.

이 때문에 2월 고용동향에서도 2월 일시휴직자는 전년 동월보다 29.8%(14만2000명)이 증가한 68만명에 달했다. 이 같은 증가폭은 지난 2010년 2월(15만5000명) 이후 10년 만에 최대다.

코로나 사태의 충격으로 국내 경제가 흔들리자 결국 대출 문턱이 낮아 카드론을 주로 이용하는 영세 자영업자들의 상환능력이 현저히 저하됐을 가능성이 크다.

카드사 관계자는 “업계에서도 코로나 사태로 매출 감소 등의 피해를 입은 영세 소상공인을 돕기 위해 무이자할부, 청구유예 등을 실시하고 있다”며 “시장 상황을 면밀히 점검하며 리스크 관리에 만전을 다하고 있어 아직까지 우려할 수준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코로나19로 영세 소상공인들의 카드론 연체율 증가가 우려된다./그래픽 김민경기자

권이향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