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2020 도쿄올림픽의 1년 연기를 국제올림픽위원회(IOC)에 제안했다. 연합뉴스

[한스경제=박대웅 기자] 일본 정부와 국제올림픽위원회(IOC)가 2020 도쿄하계올림픽 및 패럴림픽을 2021년 여름 개최를 검토하는 데 합의했다. 사실상 도쿄올림픽이 1년 연기된 셈이다. 올림픽 연기로 아베 신조 일본 총리를 비롯해 일본 정부는 3가지 숙제를 떠안게 됐다. 첫째는 더 많은 예산의 확보, 둘째는 다른 국제대회와 일정 조율, 마지막은 올림픽 출전권 효력의 재검토다.

◆올림픽 1년 연기로 7조4000억원을 더 써야하는 일본

도쿄올림픽조직위원회는 올림픽 1년 연기로 쉽게 말해 '올림픽 재수생'이 됐다. 재수생처럼 1년 더 올림픽을 준비해야 하는 처지로 내몰렸다. 그만큼 투입되는 예산도 늘어난다. 경기시설과 선수촌(아파트), 국제방송센터(IBC), 메인 프레스센터(MPC) 등을 1년간 더 유지하고 다시 사용하는 데 추가비용을 지출해야 한다. 조직위 인건비 역시 늘 수밖에 없다. NHK는 23일 "스포츠 경제학자 간사이대 미야모토 가쓰히로 명예교수가 추산해 본 결과 경기장 및 선수촌 유지와 관리비, 각 경기 단체 예산, 대회 재개최 경비 등을 감안하면 1년 연기로 6400억 엔(약 7조4000억 원)이 추가로 더 필요하다"고 보도했다.
 
예산을 확보한다고 해서 끝이 아니다. 올림픽 기간 사용하려 했던 필수 시설의 대관 일정도 조율해야 한다. 단적으로 IBC와 MPC로 사용할 예정이었던 일본 최대 규모의 전시장 도쿄 빅사이트의 1년 뒤 대관 일정을 다시금 살펴야 한다. 또 선수촌으로 사용할 올림픽 아파트 역시 발등에 떨어진 불이다. 계획은 올림픽이 끝난 뒤 리모델링을 거쳐 2023년 3월 일반인 입주를 시작할 방침이었다. 하지만 올림픽이 1년 연기되면서 일반 입주를 위한 리모델링 시간도 촉박해졌다.

도쿄올림픽이 내년으로 연기되면서 내년 개최를 앞두고 있는 세계육상선수권대회 등과 같은 다른 스포츠 행사와 일정 조율이 주목 받고 있다. 연합뉴스

◆ 일정 겹치는 대회 어쩌나

다른 국제대회와 일정 조율도 필요하다. 내년 7월 16일(이하 한국 시각)~8월 1일 일본 후쿠오카에선 세계수영선수권대회가 열린다. 또 내년 8월 7일~16일에는 미국 오리건 주 유진에서 세계육상선수권대회가 잡혀 있다. 육상과 수영은 올림픽에서 가장 많은 메달이 걸린 주요 종목이다. 올림픽이 내년 7월에 열리면 이들 대회의 일정을 모두 재조정해야 한다.

그나마 세계육상선수권대회 일정은 비교적 탄력적이다. 국제육상경기연맹(IAAF)는 24일 도쿄올림픽의 1년 연기를 주장하면서 "우리는 이미 2021년 세계육상선수권대회 개최 시점 변경을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국제수영연맹(FINA)는 아직 공식 입장을 내놓고 있지 않지만 올림픽이 1년 연기된 만큼 세계수영선수권대회 일정도 바뀔 수밖에 없다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도쿄올림픽의 1년 연장이 사실상 확정된 가운데 올림픽 출전권의 향배가 주목 받고 있다. 연합뉴스

◆ 올림픽 출전 자격 부여는 어떻게

이미 올림픽 출전 자격권을 획득한 종목이나 선수는 올림픽이 1년 연기되더라도 그대로 출전권을 부여 받을 가능성이 매우 크다. 문제는 코로나19로 대부분의 종목 예선이 취소나 연기되면서 랭킹 포인트를 쌓아 올림픽 출전 자격권을 획득하는 종목의 경우다. 해당 종목 선수들은 내년에 다시 랭킹 포인트를 쌓아야 한다.
 
대표적으로 투어 대회 랭킹 포인트에 따라 세계 랭킹으로 올림픽 출전권을 부여 받는 골프나 테니스, 배드민턴 등은 랭킹 대회 일정을 새롭게 조정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코로나19라는 전대미문의 사건이 있었다고 하더라도 2020년에 쌓은 포인트로 2021년 올림픽 대회에 출전을 결정하기는 무리라는 게 일반적인 시각이다.

박대웅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