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국내 연구진, “안정적 혈압 유지” 중요

[한스경제=홍성익 보건복지전문기자] 혈압 변동성이 높을수록 치매 위험이 높다는 사실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규명됐다. 혈압을 낮추는 것 뿐 아니라 혈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치매 예방에 중요하다는 지적이다.

왼쪽부터) 강남센터 유정은 교수·삼성서울병원 신동욱 교수·숭실대 한경도 교수/제공=서울대병원 강남센터

서울대병원 강남센터 유정은·삼성서울병원 신동욱·숭실대 한경도 교수팀은 2005년부터 2012년까지 국가건강검진을 3회 이상 받은 40세 이상 성인 784만4814명을 대상으로 2016년까지 대상자들의 치매 발생 여부를 추적 관찰했다. 연구팀은 대상자의 이완기 및 수축기 혈압 변동성 정도에 따라 네 개의 그룹으로 나누고, 각각의 치매 위험도를 측정했다. 이를 통해 혈압 변동성이 치매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그 결과, 혈압 변동성이 높을수록 치매 발생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완기와 수축기 혈압 변동성이 모두 높은 경우 치매 발생위험도가 18%까지 증가했는데 구체적으로 알츠하이머 치매의 발생위험도는 17%, 혈관성 치매의 발생위험도는 최대 22%까지 증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혈압 변동성이 크면 뇌혈류의 감소 및 뇌의 허혈성 변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 이는 알츠하이머 치매의 원인 물질로 알려진 아밀로이드의 생성 증가와 관련이 있다. 또한, 혈압변동성으로 인한 혈류역학적 불안정성이 염증과 산화스트레스, 혈관 내피 기능장애 등을 유발함으로써 치매 발병에 관여했다는 것이 연구팀의 분석이다.

제공= 서울대병원 강남센터

현재 전 세계적으로 약 3500만 명의 사람들이 치매를 앓고 있다. 인구 고령화에 따라 치매 인구가 2030년에는 두 배, 2050년에는 세 배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아직까지 치매의 완치법이 없어 위험 인자를 미리 관리해 예방하는 것이 강조되고 있다, 예방 목적에서 관리 가능한 치매 위험 요인을 규명한 이번 연구가 주목을 받는 이유이다.

유정은 가정의학과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국내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일반 인구 집단에서 ‘혈압 변동성과 치매 위험도 증가의 연관성’에 관한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했다”며, “고령 등 치매 고위험군의 경우 안정적인 혈압 유지가 필요하고 고혈압이 동반돼 있는 경우에는 혈압 변동성을 낮추기 위한 약제 선택을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심장협회(American Heart Association)에서 발간하는 Hypertension 저널 최근호에 실렸다.

혈압 변동성이 큰 경우 치매 발생이 증가했다./제공= 서울대병원

홍성익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