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전북 군산시, 수수료와 광고료 없는 '배달의명수' 도입... 가입자 20일만에 3배 급증
서울시, 경기도 신규 배달앱 플랫폼 제작 돌입... 지역화폐와 연계한 서비스 주력할 듯
연합뉴스

[한스경제=변세영 기자] 국내 최대 배달 애플리케이션(앱) '배달의민족'이 수수료 정책을 바꾸면서 자영업자들의 불만이 거세게 일고 있다. 배달앱 수수료와 광고료에 부담을 갖는 이들이 늘면서 수수료 부담을 덜어낸 ‘공공배달앱’이 주목받고 있다.

6일 업계에 따르면 지역 상권을 위해 지자체별로 이용 수수료를 받지 않는 공공배달앱을 고안해 좋은 호응을 얻고 있다.

전북 군산시는 지난달 13일 공공배달앱 ‘배달의명수’ 출시했다. 수수료와 광고료가 전혀 없어 일반 배달앱 이용업체에 비해 월평균 25만원 이상 절약할 수 있는 착한 배달앱이다. 출시 이후 20일 동안 주문 건수는 약 5400여 건으로 총 주문금액은 1억2700만원에 달한다. 해당 앱에 가입한 군산시민도 지난달 말 5138명에서 현재 1만8654명으로 3배 이상 급증하며 인기몰이 중이다.

서울시도 공공배달앱 착수에 돌입했다. 가장 먼저 광진구는 수수료와 광고료 부담을 없앤 ‘광진 나루미’ 플랫폼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광진 나루미’는 코로나19 장기화로 어려움을 겪는 외식업 소상공인을 위한 서울시 최초의 공공배달앱이다. 제로페이, 신용·체크카드, 현금 등 편리성을 갖추고 결제 할인을 도입하는 등 다양한 혜택을 제공할 전망이다.

경기도도 공공배달앱 플랫폼 구축에 나서고 있다. 이재명 경기도지사는 최근 자신의 SNS를 통해 배달의민족의 수수료 시스템을 언급하며 독과점 배달앱 횡포를 억제하기 위한 합리적 경쟁 체계의 신규 플랫폼을 만들겠다는 계획을 밝힌바 있다. 경기도는 군산시의 ‘배달의명수’와 같은 자체 도내 공공배달앱을 만들고 전문가 자문을 거쳐 앱을 활성화 시킬 계획이다.

배달의민족

공공배달앱은 배민의 수수료 정책이 변경되면서 그 필요성이 대두되기 시작했다. 배달의 민족은 지난 1일부터 메인 광고 수단을 기존 월 8만8000원 정액요금제인 '울트라콜'에서 매출의 5.8%를 수수료로 지불하는 정률제 ‘오픈서비스’로 바꿨다.

부가세와 외부결제 수수료 3.3%가 더해지면 수수료만 약 10%에 달해 엄청난 반발이 일었다. 그러면서 공공배달앱이 대안으로 급부상하게 됐다. 이에 정부와 지자체가 나서서 플랫폼 마련에 손을 걷어 붙이기 시작했지만 이 같은 공공앱의 시장 안착 가능성을 마냥 낙관하기는 어렵다.

앞서 2013년 10월 서울대학교 학생들은 학교 앞 음식점을 대상으로 요금 부과가 전혀 없는 배달앱 ‘샤달’을 개발해 운영했다. 이후 서강대, 중앙대, 경희대 등 8개 대학의 배달음식 정보를 통합한 앱 '캠퍼스달'을 연달아 내놓으며 규모를 확장했다. 한 때 다운로드 건수만 수만 건에 육박했지만 현재는 이용자 감소의 벽을 넘지 못하고 기능이 비활성화 된 상태다.

지난 2014년 한국배달음식업협회가 출시한 음식배달앱 '디톡'도 비슷하다. 당시 수수료 없이 월 1만5000원 회비를 내는 구조로 영세상인들을 끌어 모았지만, 입점업체 수 확장에 어려움을 겪어 지지부진 됐다.

배달앱의 흥행은 수요와 공급법칙에 따라 이용자들이 얼마나 많이 앱을 사용하느냐에 달려있다. 그동안 수수료제로를 외친 수많은 배달앱들은 가격적인 메리트가 없고 업체풀이 다양하지 못해 시장 정착에 실패했다.

할인쿠폰이나 포인트와 같은 막대한 광고를 통해 음식을 저렴하게 제공하는 배민이나 요기요의 서비스 질을 따라갈 수 없었다. 공공배달앱이 시장에 정착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정부의 자금 지원이 가장 우선시되어야 하는 이유기도 하다.

군산시가 내놓은 공공배달앱 '배달의명수'

우선 지자체에서 개발하는 공공온라인 플랫폼은 지역화폐(상품권)와 연계한 시너지에 주력하는 모습이다.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과 관련해 제공하는 긴급생활비를 공공배달앱 온라인과 연동하는 방안이 그 일례다. 지역화폐로 결제 시 금액을 할인하는 등 지자체별 자금 지원이 이루어진다면 가격적인 메리트를 확보할 수 있다.

다만 이는 가격 할인을 세금(지역화폐 발행)으로 메꾸는 형태이기 때문에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기는 힘들다. 장기적으로는 공공배달앱 운영망을 갖춘 기업에 맡겨 민간 업체와 경쟁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정부의 자금 지원을 받은 공공배달앱 업체는 서버·페이·고객관리 시스템을 개선해 수수료를 낮춰 배민과 비교해 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방안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자영업자 스스로도 자체 업장의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개별 서비스 질을 높이는 등 노력이 뒷받침되어야 한다는 내용이다.

요식업 가맹점 협회 관계자는 “공공배달앱 내 후기가 쌓이고 가맹점주도 수수료를 아낀 부분만큼 고객에 혜택을 제공하는 연계를 늘린다면 앱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라면서 “(장기적으로) 무조건 무료가 아닌 공정한 룰을 만들어서 적절한 수수료를 통한 비용 절감이 필요해 보인다”라고 설명했다.

변세영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