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비스페놀류·프탈레이트류·파라벤류 등 총 14종…통합위해성평가 결과 발표
오송 식품의약품안전처

[한스경제=홍성익 보건복지전문기자] 일상생활 속 다양한 경로로 인체에 노출되는 비스페놀류, 파라벤류, 프탈레이트류 등 화학물질들은 아직은 안전한 수준인 것으로 파악됐다.

환경호르몬으로 불리는 이들 화학물질은 발암물질이라는 증거는 없지만, 동물에게 생식 발생 독성, 내분비계 교란 등의 위험성이 있다고 알려진 물질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 산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평가원)은 일상생활 속 다양한 경로로 인체에 노출되는 비스페놀류(3종), 파라벤류(4종), 프탈레이트류(7종) 등 화학물질 총 14종에 대해 통합위해성평가를 실시한 결과, 국민의 체내 총 노출량은 위해우려가 없는 수준인 것으로 평가됐다고 9일 밝혔다.

제공= 식품의약품안전처

평가원은 △통조림 내부 코팅제의 원료로 사용되는 비스페놀류 3종(BPA,BPF,BPS) △플라스틱 가소제로 사용되는 프탈레이트류 7종(DEHP,DBP,BBP,DEP,DNOP,DIDP,DINP) △식품·화장품 등의 보존제로 사용되는 파라벤류 4종(메틸파라벤,에틸파라벤,프로필파라벤,부틸파라벤) 등14종을 선정해 물질별 체내 총 노출 수준을 산출하고, 이를 물질별 인체 노출 안전기준과 비교하는 방식으로 평가했다.

평가 결과, 체내 총 노출량은 모든 연령대에서 비스페놀류(3종)는 0.01∼0.05㎍/kg bw/day(체중 당 일일노출량), 프탈레이트류(7종)는 14.23∼27.23㎍/kg bw/day, 파라벤류(4종)는 11.7∼23.2㎍/kg bw/day 정도로 조사됐으며, 노출량은 인체노출안전기준 대비 비스페놀류 0.05~0.25%, 프탈레이트류 2.3~8.5%, 파라벤류 0.12~0.23%로 안전한 수준이었다.

체내 노출량의 변화 추이는 비스페놀A와 DEHP, DBP, BBP 등 프탈레이트류 3종의 경우 모든 연령대에서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어린이(3~12세)의 체내 노출 수준은 비스페놀A와 DEHP, BBP는 각각 60%, DBP는 40% 정도 감소하는 경향이 관찰됐다.

강윤숙 식약처 소비자위해예방정책과장은 “이는 식품용 기구 및 용기·포장, 유아·아동용 제품, 화장품 등 일상생활에서 널리 사용되는 인체적용제품군에 대해 프탈레이트류 등의 기준·규격을 엄격히 관리해 노출원을 줄여나간 결과로 해석된다”고 밝혔다.

비스페놀A는 비스페놀류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물질로 식품(캔, 포장식품 등)을 통해 주로 노출되는 것으로 확인됐으며, 그 외에도 감열지(영수증), 접착제, 집먼지 등도 노출원인으로 파악됐다. 비스페놀A는 민감 계층인 영유아가 사용하는 기구 및 용기·포장(젖병 등)과 화장품 등에 사용할 수 없도록 엄격히 관리하고 있다.

플라스틱을 만들 때 가소제로 사용되는 프탈레이트류는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식품, 화장품, 장난감 등 다양한 제품과 집 먼지 등을 통해 노출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파라벤류는 식품, 화장품의 보존제로 사용되는 물질로, 에틸파라벤은 식품을 통해 메틸파라벤과 프로필파라벤은 화장품을 통해 주로 노출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강윤숙 과장은 “이번 평가를 통해 비스페놀류 등 총 14종의 체내 노출량은 위해우려가 없는 수준으로 확인했으나, 물질별로 노출원인과 경로가 다양한 만큼 노출원은 최대한 줄여 나가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향후 주요 노출원에 대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을 실시해 체내 노출수준의 변화와 그에 따른 건강영향을 평가하는 한편, 관련 부처와 협력해 노출원 정보를 공유하고 주요 노출경로를 정확히 파악해 우리국민에게 많이 노출되는 제품에 대한 관리를 강화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제공= 식품의약품안전처

홍성익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