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는 탁구와 야구, 당구 등 3개 종목에 대해 생활체육 저변 확대 등을 목표로 승강제 도입을 추진한다. 연합뉴스

[한스경제=박대웅 기자] 문화체육관광부가 대한체육회와 함께 '스포츠클럽승강제(디비전) 리그'(이하 승강제 리그)를 도입한다. 종목은 야구와 당구, 탁구다. '승강제 리그'는 시즌 성적에 따라 하위 리그 상위팀과 상위 리그 하위팀을 맞바꾸는 걸 말한다. 현재 프로 스포츠 중에서는 국내 K리그를 비롯해 전 세계 주요 축구 리그가 이 시스템을 채택하고 있다. 
 
◆ 생활체육 확대 효과 기대하는 문체부
 
문체부는 "승강제 리그가 구축되면 경기력에 따라 상위 리그부터 하위 리그까지 리그별 수준이 자연스럽게 정착되면서 지역 동호회팀부터 프로와 실업팀까지 하나의 체계로 운영할 수 있다"면서 "현재 생활체육, 전문체육으로 분리돼 운영되고 있는 체육대회를 승강제 리그로 통합해 연계하면 생활체육 저변을 확대하고 우수한 인적 자원을 확충할 수 있다"고 도입 취지를 설명했다. 또한 "2017년부터 축구 종목(K7~K5)에 처음 도입된 '승강제 리그'는 2019년 말까지 209개 리그에 1315개 팀이 참여하는 등 축구 종목 활성화와 저변 확대에 크게 기여했다"고 평가했다.
 
문체부는 승강제 리그 종목 공모를 거쳐 야구와 탁구, 당구 등 3개 종목을 선정했다. 이들 3개 종목은 올해부터 지역단위 생활체육 리그 운영이 시작된다. 2020년 시·군·구 리그, 2021년 시도 리그, 2022년 광역 리그까지 구축하고 장기적으로 전문체육대회(실업·프로리그)와 연계될 예정이다. 
 
문체부 관계자는 "승강제 리그로 생활체육과 전문체육으로 양분하지 않는 다양한 수준별 대회를 마련해 생활체육의 저변을 넓히고 우리나라가 스포츠 선진국으로 한 단계 도약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인프라 확충 없이는 생활체육 저변 확대는 공허한 메아리에 그칠 수 있다. 연합뉴스

◆ 인프라 확충 없이는 공염불 그칠 수도
 
많은 이들이 취지에는 공감하지만, 현실적으로 인프라 확충 없는 정책 집행은 실효성이 떨어지는 공염불로 그칠 우려도 있다. 2016년 국민생활참여실태조사에 따르면 정기적으로 체육활동에 참여하는 인구는 59.5%이다. 국민 세 명 중 두 명은 일상적으로 체육활동을 즐기고 있다. 하지만 체육시설의 공급적 측면에서 보면 열악하다. 2015년 말 기준 공공체육시설은 2만2662개, 민간체육시설은 5만5957개다. 이익창출을 목적으로 하는 민간체육시설이 2배 이상 많다. 이 시설 중 95.1%가 당구장, 체육도장, 골프연습장, 피트니스클럽으로 일부 시설에 국한돼 있다. 
 
수요가 많은 야구, 축구, 배드민턴, 수영 등은 시설 조성과 유지 관리에 많은 비용이 들지만 이용료는 낮다. 수익창출이 한정적인 종목들은 공공체육시설에서 공급한다. 때문에 생활체육 참여를 보장하기 위해서는 기초종목을 위한 공공체육시설이 더 원활하게 공급돼야 한다. 
 
국민체육참여실태조사 자료를 근거로 김미옥 한국스포츠개발원 정책개발실 연구위원이 추정한 2022년 종목별 생활체육활동 참여인구 추정치를 보면 축구는 약 356만 명, 수영은 160만 명, 배드민턴은 110만 명에 달한다. 이 자료를 토대로 축구장은 3232개, 수영장은 1310개, 실내체육관은 1032개가 필요하지만 2016년 기준 시설 수는 크게 못 미친다. 축구장은 842개, 수영장은 94개, 체육관은 722개가 더 필요하다. 
 

◆ 공공체육시설 서비스 질도 높여야
 
생활체육 저변 확대를 이뤄 스포츠 강국으로 진입하기 위해선 공공체육시설의 양적 증가와 동시에 서비스의 질도 높아져야 한다. 공공체육시설이기에 이용자에게 많은 비용을 부과할 수 없고, 각종 할인정책 시행으로 시설 운영에 현실적 어려움이 많다. 한정된 프로그램과 소극적 시설투자로 이용자 정체 및 감소가 이어지고 있다. 
 
대표적으로 공공체육시설인 국민체육센터의 경우 평균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종목은 5개에 불과하다. 스포츠에 대한 수요 증가에 비해 공공시설은 수요자의 요구에 빠르게 대처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공공체육시설은 공공기관에서 직접 또는 위탁운영하는 곳이 많으며 상당수가 체육시설 운영 경험이 없는 비전문가들이 관리한다. 때문에 시설 운영에 소극적으로 대처할 수밖에 없으며 새로운 프로그램 도입이나 시설 확충에 한계가 있다. 결국 승강제 도입으로 생활체육 활성화를 완성하기 위해선 공공체육시설 인프라 확충을 위한 재원 마련과 동시에 시설 운영 주체 다변화 등의 질적 성장이 동반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박대웅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