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2018년 총 진료인원 703만여 명…남성 328만여 명·여성 376만여 명
건강보험 총 진료비 5127억…연평균 6.6% 증가
원주 국민건강보험공단

[한스경제=홍성익 보건복지전문기자] 지난 2018년 한 해 동안 ‘알레르기 비염’ 환자는 10대 이하가 가장 많은 266만여 명으로 37.8%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알레르기 비염(J30)’이란 상기도에 발생하는 대표적인 알레르기 질환으로, 비강으로 흡입된 특정 원인 물질(항원)에 대해 코의 점막이 과민반응을 일으켜 맑은 콧물, 재채기, 코막힘, 가려움증 등의 주증상이 나타나는 코의 알레르기성 염증 질환을 말한다.

제공= 국민건강보험공단

23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이하 건보공단)이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해 2014~2018년간 ‘알레르기 비염(J30)’ 환자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진료인원은 연평균 2.6% 증가했다.

2018년 기준 87명으로 여성이 우세했고, 10대 이하 환자가 많아 2018년 기준 266만여 명으로 37.8%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간 건보 가입자 중 ‘알레르기 비염’으로 요양기관을 방문한 진료인원은 2014년 637만여 명에서 2018년 703만여 명으로 10.5%(연평균 2.6%) 증가했다.

남성은 같은 기간 295만여 명에서 328만여 명으로 11.2%(연평균 2.7%), 여성은 342만여 명에서 376만여 명으로 9.8%(연평균 2.4%) 증가했다. 진료인원은 여성이 많았지만 연평균 증가율은 남성이 더 높았다.

2018년 ‘알레르기 비염’으로 진료 받은 남성은 전체 환자의 46.6%(328만여 명), 여성은 53.4%(376만여 명)로 여성 환자의 비율이 더 높았다.

같은 기간 연령대별 진료현황은 10대 이하 환자(265만8641명, 37.8%)가 가장 많은 가운데30대(92만1360명, 13.1%), 40대(88만3명, 12.5%) 순이었다. 남성은 10대 이하가 140만3423명(42.8%)으로 가장 많이 진료를 받았고, 40대(36만9479명, 11.3%), 30대(36만3289명, 11.1%) 순으로 나타났다.

제공= 국민건강보험공단

여성도 10대 이하>30대>40대 순으로 남녀 모두 10대 이하 알레르기 비염 환자가 많은 것으로 파악됐다.

인구 10만 명당 진료인원은 최근 5년간 연평균 2.2% 증가했으며, 2018년 적용인구 10만 명당 연령대별 진료인원은 10대 이하가 2만8752명으로 가장 많았고, 30대 1만2360명, 70대 1만1204명 순으로 나타났다.

‘알레르기 비염’ 환자의 최근 5년간 건강보험 진료비(2014년 3982억 원→2018년 5127억 원)는 1145억 원이 늘어 연평균 6.6% 증가했다.

입원진료비는 같은 기간 22억 원에서 28억 원으로 연평균 6.5% 증가했고, 외래는 2173억 원에서 2801억 원으로 연평균 6.6%, 약국은 1787억 원에서 2297억 원으로 연평균 6.5% 늘어났다.

정효진 건보공단 일산병원 이비인후과 교수는 “10대 이하 알레르기 비염 환자가 많은 것은 알레르기 비염의 경우 항원에 대한 감작이 소아기에 일어나는 것으로 추정되며, 유전적 소인에 의해서 영향을 받기 때문에 가족력이 있는 경우 그 유병률이 증가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어릴 때부터 알레르기 질환(아토피성 피부염, 알레르기 비염, 기관지 천식)은 순차적으로 발병하고, 일반적으로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증상이 약해지며, 알레르기 피부반응의 반응 정도도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며, “편도 아데노이드 비대, 불완전한 부비동의 발달 및 부비동염 등의 원인 인자로 인해 성인에 비해 증상이 쉽게 나타날 수 있다”고 밝혔다.

정 교수는 이어 ‘여성 알레르기 비염 환자가 남성보다 많은 원인’에 대해 “여성의 경우, 생리 중이나 임신 시에 내분비계 호르몬, 특히 혈중 에스트로젠 수치의 변화에 따라 심각한 코막힘, 수양성 비루(콧물) 등의 증상이 심해질 수 있고, 임신 후기에는 더욱 심해지는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알레르기 비염’의 치료방법으로 “알레르기 질환은 짧은 기간 치료로는 완치가 어렵고, 꾸준한 관리를 통해 증상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악화 시에는 약물치료 등의 빠른 대처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제공= 국민건강보험공단

홍성익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