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소비자물가 4개월 만에 0%대…정부 “정책효과” vs 학계 “코로나가 도화선 될 수도”
안형준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이 4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2020년 4월 소비자물가동향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스경제=김호연 기자]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다시 0%대로 내려갔다. 지난 2월부터 매달 1% 성장률이 제자리로 돌아오면서 한국 경제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발 디플레이션에 빠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정부는 이에 정책 효과에 의한 현상이라고 설명했지만, 학계에선 디플레이션 진입 가능성을 두고 의견이 분분하다.

4일 통계청에 따르면 4월 소비자물가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0.1% 상승했다. 지난해 10월(0%) 이후 6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내내 0%대였다. 9월에는 1965년 통계집계 이후 처음 마이너스(-0.4%)를 기록했다.

올해 들어서는 지난달까지 3개월째 1% 이상 상승 행진을 이어갔다.

하지만 근원물가는 0.3% 상승하는 데 그쳤다. 이는 외환위기 여파가 한창이었던 1999년 9월 이후 20년 7개월 만에 가장 낮은 상승률이다. 근원물가는 농산물과 석유류 등 계절 요인이나 일시적 충격에 따른 물가변동분을 제외한 지수다.

이에 따라 우리 경제가 물가 상승률이 일정 기간 지속해서 0% 아래로 하락하는 디플레이션 현상에 빠지는 게 아닌지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 등은 물가 상승률이 2년 이상 마이너스를 보이는 경우를 디플레이션으로 정의한다.

소비자 수요 급감으로 디플레이션에 빠지면 소비자와 기업의 소비와 투자는 위축된다. 생산된 상품은 팔리지 않고, 상품의 재고가 급증하면 생산자는 가격을 낮추고 생산을 줄인다. 악순환이 반복되면서 경기는 악화한다.

정부는 근원물가가 낮은 수준의 상승에 그친 가장 큰 원인은 정책효과라고 설명했다. 고교 무상교육과 사립대 등록금 하락 등 정책 영향이 가장 컸다는 주장이다. 코로나19 영향으로 외식비 상승폭이 줄어든 것도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코로나19 관련해서 여러 불확실성이 있는 상태라 향후 추세를 지켜봐야 한다는 입장이다.

전문가들은 코로나19에 의해 디플레이션이 가속화될 수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물가가 이례적으로 낮아 디플레이션의 초입이 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코로나19 전에도 디플레이션 진입 징후는 상당했기 때문이 코로나19의 여파로 디플레이션이 상당히 진행될 수 있다는 견해다.

코로나19로 인한 저물가 현상이 오래가지 않을 것이란 반론도 있다.

이들은 물가의 하락 요인이 수요 압력에 있는 것으로 보여 저물가 현상이 일시적일 것이라고 분석한다.

다만 전문가들은 정부가 저물가 현상 장기화에 대비해 한국판 뉴딜 등 적극적인 경기 부양책을 내놓는 것이 필요하다는 입장엔 대부분 의견이 일치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호연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