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마음건강 챙기기…‘서로 기대고 함께 헤쳐 나가야 할 때’

[한스경제=홍성익 보건복지전문기자] 사회적 거리두기에서 생활 속 거리두기로 전환된 시점에서 주춤하던 코로나19 지역감염이 확산되고 있다. 건강에 대한 위협뿐만 아니라 경제적인 어려움, 일상생활의 중단 등 예기치 못한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는 가운데, 우리 마음의 건강은 잘 챙기고 계신가요?

주요 사례 문답을 통해 백종우 경희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와 함께 코로나19에 대해 알아봤다.

백종우 경희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가 코로나 블루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제공= 경희대병원

◇ 코로나 블루란?…치료는 어떻게 하나?

‘코로나 블루’라는 단어는 공식적인 진단명이 아니다. 코로나19와 우울감(blue)의 합성어다. 감염재난 시기에 발생하는 건강에 대한 위협, 경제적인 어려움, 일상의 중단 등은 현실적인 고통으로서 우리가 직면하는 첫 번째 화살이다.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고 극복해나가야 하지만, 쉽지 않다.

자연스레 우리의 마음 한켠에는 불안, 분노, 우울감이 유발되는데 이를 코로나 블루라고 일컫는다. 사실 불안한 감정을 질환으로 느낄 필요는 없다. 어느 정도의 불안은 누구나 경험하고 있기 때문이다. 불안이 있기 때문에 손도 잘 씻고, 마스크도 쓰는 등 방역수칙을 잘 지키고 있는 것이다.

지난달 한국트라우마스트레스학회(KSTSS)에서 전 국민을 대상으로 진행한 온라인 설문조사에 따르면 평소시기에 비해 국민들의 우울과 불안은 증가했지만, 80% 정도는 정상수준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10~20%는 임상적인 관심이 필요한 정도의 불안을 보여주고 있다. 이런 분들에게는 도움이 필요하다.

대개는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 하지만, 우울증, 불안증세가 있었거나 너무나 큰 고통으로 잠을 못 자는 분들은 전문 의료진의 도움을 받을 필요가 있다.

◇ 코로나19에 가장 도움이 필요한 사람은?

현재 가장 도움이 필요한 사람은 자가격리자, 그리고 확진자로 볼 수 있다. 특히 코로나19 감염으로 가족을 잃으신 유가족분들은 장례조차 제대로 치를 수 없는 상황이기 때문에 심적 고통은 말로 표현할 수 없을 만큼 크다.

현재 보건복지부와 정신건강의학과 의료진이 MOU를 체결, 국가트라우마센터를 통해 전화상담을 진행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기를 권장한다. 일반 국민은 정신건강 전문요원들과 24시간 상담이 가능한 위기상담전화(1577-0199)를 이용하면 된다.

◇ 코로나 블루를 예방하려면?

바이러스에 대한 방역 가이드라인 중 1/3 정도는 위기소통과 심리방역에 대한 내용이다. 그만큼 중요하기 때문인데, 지금 코로나19에 대한 우리나라 국민들의 대응은 매우 성숙한 수준으로 평가받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가장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부분은 바로 ‘일상생활의 중단’이다. 본인이 꾸준히 해오던 취미활동, 운동, 사람과의 어울림 등이 한순간에 중단되기 때문이다. 야외활동이 제한됨에 따라 집에만 머물며 코로나19 관련 뉴스를 계속해서 보게 되는데, 이는 심리방역에 가장 안 좋은 행동이다.

하루 종일 앉아 뉴스만 보게 되면, 봄 날씨에도 불구하고 밖에서 햇빛도 보지 못하고 자연스레 운동량이 저하된다. 스트레스를 이겨내는 심리적인 힘도 결국은 몸에서부터 비롯되기 때문에 최소한 실내에서 창문을 열고 햇볕에 드는 곳에서 운동하기를 권장한다.

이와 함께 타인과 ‘소통’을 유지하는 것도 중요하다. 자신이 생각하기에 소중한 사람, 믿을 수 있는 사람과 전화 혹은 SNS 등을 통해 자신의 어려움을 솔직히 털어놓고 ‘함께’하는 것이다. 이외에도 의료진, 방역요원들에게 감사의 편지를 써보는 것도 좋다.

사회적 신뢰를 높이는 행동이자 자신의 심리적 면역력을 지키는데 굉장히 유용하기 때문이다. 타인에게 도움을 주는 행위는 스트레스를 줄이고 결과적으로 면역체계를 지켜 자신뿐만 아니라 사회를 더욱 강하게 만들어준다.

◇ 마음건강을 지키기 위한 수칙은?

우리는 누구나 이전에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그것을 이겨온 자기만의 경험을 갖고 있다. 물론, 외부의 스트레스로 인해 너무 힘든 상황에 처한다면 이를 잊기도 한다. 마음건강 수칙, 심리방역 수칙 등을 참고하면서 자신에게 잘 맞는 스트레스 극복 방식을 선택하여 적용해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지난 2월말 대한신경정신의학회에서 국민들을 위한 마음건강 지침을 발표한 바 있다. 이외에도 한국트라우마스트레스학회,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등에서도 발표한 지침이 있기 때문에 이를 참고하면 된다.

◇ 계속되는 등교 연기, 아이를 돌보는 부모들의 생활수칙은?

연령에 따라 상황을 이해하는 데 상당한 편차가 발생할 수 있다. 등교가 계속해서 연기됨에 따라 친구도 못 만나게 되는데, 저학년일수록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느낀다. 상황을 잘 이해하지 못하는 상황 속에서 가짜뉴스와 같이 정확하지 않은 정보는 오해를 유발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고학년의 경우, 일상의 리듬이 깨지면서 여러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는데, 하루의 계획을 세우고 실천여부에 따라 보상을 주는 등 가족끼리 새로운 일상을 계획하고 함께 만들며 극복해나가는 것이 좋다.

이외에도 부모님과 함께 있는 시간이 늘어났기 때문에 자주 짜증을 내는 등 평소보다 예민해질 수 있는데, 이럴 때일수록 부모는 아이의 눈높이로 현 상황에 대해 반복해서 설명해주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또한, 서로 간의 감정을 있는 그대로 공유하고 받아들이며 함께 이겨나가야 한다.

◇ 자가격리자를 위한 마음건강수칙은?

자가격리자가 가장 힘들어 하는 것은 고립이다. 방안에서 거의 2주간 나오지 못하다보니, 자연스럽게 하루 종일 뉴스만 듣게 되고 누워 있다 보면 생활 리듬과 일상이 깨지게 된다. 특히 일의 공백이 생기면서 경제적 어려움에 대해 많은 고민을 호소한다.

자가격리자의 마음건강을 위해서는 주변사람들의 도움이 필요하다. 해외 연구를 살펴보면, 자가격리자의 경우 불안장애나 불면증이 증가할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하지만, 흥미로운 점은 이타적인 경험을 한 사람들은 자가격리 기간을 후유증 없이 이겨냈다는 사실이다. 자신만이 아니라 사회의 건강함을 지키기 위해 희생하고 있다는 감정을 공유하는 등 이 시기를 잘 헤쳐 나아나갈 수 있게끔 응원해줄 필요가 있다.

◇ 의료진을 위한 마음건강수칙은?

해외에서 진행된 ‘의료진에 대한 감염재난의 영향’ 연구자료를 살펴보면 사스, 신종플루 당시 오랜 기간 훈련받은 전문가이기 때문에 코로나19 상황에 대해서도 잘 준비가 돼 있어 괜찮다는 의견과 다른 한편으로는 스트레스로 인해 불안 증세나 불면증이 발생할 수 있다는 보고가 있다.

의료인에게 가장 힘든 순간은 본인의 환자를 잃는 트라우마다. 어떻게든 살리고자 했지만 실패했을 때, 그 스트레스가 누적되면 영향을 주기도 한다. 또한 이 시기에는 누구나 예민해질 수 있다.

의료진도 예외는 아니다. 의료진도 사람이기에 자신의 마음 건강상태를 관심 있게 살펴봐야 하며, 필요하다면 주변 사람들에게 도움을 요청해야 한다. 팀워크 또한 중요하다. 이럴 때일수록 서로에게 믿음을 갖고 더욱 살펴야 한다. 환자에게 항상 하는 말처럼, 전혀 부끄러운 일이 아니기에 우리 의료진들도 그대로 실천해야 한다.

홍성익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