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한스경제=강한빛 기자] 국내 대기업이 유동성 확보와 비용 절감 등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위기에 대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코로나 위기가 6개월 이상 지속될 시 인력감축이 불가피할 것으로 내다봤다. 

17일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지난달 13∼24일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종업원 300인 이상 매출액 상위 500대 기업 중 120곳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기업 구조조정 현황'을 설문했다.

조사 결과 코로나19 피해 최소화를 위해 현재 취하거나 논의 중인 대응 전략으로 가장 많은 답변은 ▲금융자금 조달 등 유동성 확보(22.5%)였다.

이어 ▲휴업·휴직(19.4%) ▲성과급·복지비 등의 급여 삭감(17.5%) 등이 뒤를 이었고 ▲명예·희망퇴직이나 정리해고 권고사직 등 인력 감축은 8.8%로 나타났다.

▲비주력사업 매각과 인수합병(M&A) 등 사업구조 개편(4.4%) ▲공급망 변경(3.1%)을 추진하는 기업도 일부 있었다. ▲별도 대응 방안이 없다고 답한 기업은 17.5%였다.

급여 삭감을 결정한 기업의 경우 직원 월급의 평균 7.9%, 임원 월급의 평균 15.0%를 삭감하려는 것으로 조사됐다. 월급 삭감 폭은 응답 기업의 78.6%가 0∼10%라고 답했고 10∼20%(17.9%), 30∼40%(3.6%) 순으로 뒤를 이었다.

휴업이나 휴직을 실시·논의하는 경우 평균 휴직 기간은 1.2개월로 조사됐다.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경영악화가 지속할 경우 인력 구조조정(감축)을 하지 않고 영업을 유지할 수 있는 기간을 묻자 전체 응답 기업의 67.5%는 ▲6개월 이상이라고 답했다.

이어 2∼4개월(16.7%), 4∼6개월(9.2%), 0∼2개월(6.7%) 등의 순으로 답해 응답 기업 3곳 중 1곳은 코로나19가 6개월 이상 지속할 경우 인력 감축이 불가피하다고 판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휴업·휴직 추진 기업 중 정부의 고용유지지원금을 받는 곳은 19.4%에 그쳤다. 

또 고용 대란을 막기 위해 필요한 정책 지원으로는 고용유지지원금 지원요건 완화(37.5%)가 가장 많이 꼽혔고, 최저임금 동결(19.2%), 긴급융자제도 도입(14.9%), 특별고용지원업종 추가 지정(13.9%), 직원 월급 보증제도 도입(11.5%) 순이었다.

강한빛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