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인구 고령화…치과용임플란트·다초점인공수정체 수요 급증

[한스경제=홍성익 보건복지전문기자] 지난해 국내 의료기기 생산실적이 7조원을 돌파했다. 치과용임플란트가 3년 연속 생산품목 1위를 차지했다.

제공=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지난해 국내 의료기기 생산실적이 7조2794억 원으로 2018년 6조5111억 원 대비 11.8% 증가했다고 20일 밝혔다.

의료기기 생산실적은 최근 5년간 해마다 평균 9.8%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2019년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인 2.0%를 약 5배 상회하는 수준이다.

수출·입 또한 전년대비 각각 8.9%, 13.3%씩 증가해 국내 의료기기 산업이 생산·수출·수입 전반에 걸쳐 성장세에 있는 것으로 나탔다.

생산과 수입 규모에서 수출을 뺀 국내 의료기기 시장규모는 지난해 7조8000억 원으로 지난 5년간 연평균 10.3%씩 확대되고 있다.

의료기기 생산 품목별로는 치과용임플란트(1조3621억 원), 범용초음파영상진단장치(4706억 원), 성형용 필러(2435억 원) 순이었으며 상위 10개 품목이 전체 생산의 41.1%(2조9953억 원)를 차지했다.

전년대비 생산액 증가율이 가장 높은 품목은 치과용전산화단층촬영장치(75.3%)와 치과용임플란트(26.9%)였다. 치과용임플란트의 경우 3년 연속 생산 1위를 차지했는데, 이는 인구 고령화와 건강보험 적용 확대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범용초음파영상진단장치(5615억)는 3년 연속 수출 품목 1위를 차지했다. 다음으로 치과용임플란트(3,640억), 성형용 필러(2,549억) 순으로 수출이 많았다.

수출액 증가율 1위 품목은 치과용임플란트(33.9%)였으며, 중국, 독일, 루마니아에 수출이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제공= 식품의약품안전처

국가별 수출액은 중국 7152억원, 미국 6756억원, 독일 2763억원 순이었다.

수출 상위 15개 국가 중 아랍에미리트(161.1%↑), 베트남(35.8%↑), 프랑스(24.6%↑)에는 진단용X선 촬영장치, 개인용온열기, 유전자검사시약 등 의료기기 수출이 크게 증가했다.

의료기기 수입 품목 1위는 3년 연속 ‘매일착용 소프트콘택트렌즈’(1771억)가 차지했다.

또 전년에 이어 다초점인공수정체(73.8%)의 수입 증가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백내장 수술환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등 사회 고령화에 따른 영향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지난해 체외진단용 시약 생산액은 3780억원, 수출액은 5,012억원으로 전년대비 각각 9.2%, 3.1% 감소했으며, 수입액은 5,128억원으로 11% 증가했다.

이번 실적은 코로나19가 발생하기 이전인 2019년 실적으로, 코로나19 진단시약의 생산·수입·수출 실적이 반영되지 않았다.

다만, 작년 의료기기 총 생산액의 5.2%, 수출액의 11.6%를 차지하고, 고위험성감염체면역검사시약 등이 2년 연속 생산·수출액 상위 30위내 포진하고 있어 체외진단기기 분야의 성장 가능성이 이미 통계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고위험성감염체면역검사시약이란, 성매개성질환, 태아 감염, 뇌척수액 및 혈액의 감염 질환, 법정전염병의 감염진단을 위한 시약이다.

특히, 올해 코로나19 체외진단용 시약의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체외진단용 의료기기의 안전성 확보와 국제경쟁력 강화를 위해 ‘체외진단의료기기법’이 제정되는 등 체외진단용 시약 분야는 지속적으로 규모가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식약처는 지난해 ‘의료기기산업 육성 및 혁신의료기기 지원법(의료기기산업법)’, ‘체외진단의료기기법’ 제정을 통해 의료기기산업 육성을 위한 기반을 마련한 바 있다.

유희상 식약처 의료기기관리과장은 “올해 의료기기산업법과 체외진단의료기기법 본격 시행을 통해 우수한 의료기기의 신속한 제품화를 지원하고 국민 건강 증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홍성익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