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최지연 기자]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연예계는 그로 인한 여파에 직격탄을 맞았다. 영화계의 매출은 바닥을 찍었고 올해 1분기 영화계 투자 역시 작년 같은 기간 대비 61.3% 감소했다. 공연계를 비롯한 가요계 역시 공연 일정은 모두 취소되고 해외 진출 역시 어려워졌다. 그에 비해 야외활동 대신 실내활동이 늘어나면서 OTT(온라인 동영상 스트리밍)와 VOD 서비스를 즐기는 시청자가 대폭 확대되며 방송계는 피해를 피해간 듯했지만 광고 수익 감소로 지상파 방송사는 경영 위기를 맞았고 방송계 종사자는 열악한 근무 환경에 노출돼 코로나 쇼크를 피해 가지 못했다.

KBS, MBC, SBS 로고

■ 방송계 규제 완화 촉구

지상파 방송 3사는 코로나19로 인한 광고 매출 급락에 어려움을 호소하며 정부의 시급한 정책적 지원을 요청했다. KBS와 MBC, SBS 지상파 방송 3사 사장단은 지난달 목동 한국방송협회에서 코로나19에 따른 광고 매출 급락 등 대응책을 논의하고 정부의 긴급 지원을 촉구하는 공동 성명서를 채택했다. 이어 한국방송협회(방송협회)는 보도자료를 통해 "국내 경제가 얼어붙으며 예상 광고 매출 대비 40%가량의 광고 물량이 급격히 빠져나가고 있는 위기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방송협회는 성명서를 통해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얼어붙은 국내 경제가 지상파 방송을 견디기 힘든 가혹한 상황으로 내몰고 있다"며 "오랜 기간에 걸쳐 탈출구 없이 어려움만 가중되어 오던 지상파 방송은 이번 사태로 한계 상황에 다다랐고 이제 일촉즉발에 가까운 붕괴 위기에 봉착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방송협회는 지상파 방송사가 코로나19 국면에서 국민의 안전을 지키기 위해 특별재난방송을 편성해 정확하고 신속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인포데믹(정보감염증)이 만연하기 쉬운 사회적 혼란 속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강조하며 정부에 지상파 중간광고 즉시 이행, 한시적으로라도 방송통신발전기금 50% 경감 등의 조치를 요구했다. 이들 조치는 지상파가 지속해서 요구해 온 사안이면서 동시에 현 지상파 경영상황에 즉각적으로 효과를 거둘 수 있는 대책이기도 하다.

방송협회는 지상파방송사가 코로나19 국면에서 국민의 안전을 지키기 위해 특별재난방송을 편성해 정확하고 신속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인포데믹(정보감염증)이 만연하기 쉬운 사회적 혼란 속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영화관./연합뉴스

■ 코로나19 대책 지원사업…최대 170억 원

영화진흥위원회(영진위)는 지난 12일 '코로나19 충격:한국 영화산업 현황과 전망' 보고서를 공개했다. 영진위가 코로나19 사태 이후 영화제작 현장 피해 규모 실태 조사를 한 결과 총 82개 작품이 실제로 피해를 입었고 지난 1월부터 4월까지 이 작품들의 실제 피해 총액은 213억8993만 원으로 나타났다. 작품 1편당 평균 피해액은 2억 6389만 원이며 최대 피해를 본 작품은 33억 3000만 원까지 손해를 봤다고 보고했다. 여기에 82편 중 51.3%인 42편은 제작단계에서 연기되거나 중단 및 취소된 상태다.

이로 인해 자연스럽게 한국 영화 산업의 고용력도 감소했다. 제작 현장에서는 총 413명의 고용이 중단됐다. 이 중 227명은 고용이 연기, 186명은 취소되는 현상이 발생했다. 계속해서 상승곡선을 타던 한국 영화 산업이 코로나19로 단번에 수직으로 하락하면서 상황은 더욱 악화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영진위는 영화발전기금 변경 허용 최대치인 170억 원을 '코로나19 극복 한국영화특별지원사업'에 추가 투입했다. 지난 6일 영진위는 정부가 발표한 코로나19로 인한 영화산업 피해 긴급지원을 위한 종합대책의 세부 실행 방안을 발표했다. 

영진위는 문체부 등 관계부처와 협의해 한시적으로 영화발전기금 부과금의 90%를 감면하고 고용노동부에 영화산업이 특별고용지원업종에 지정되도록 신청을 주선하는 한편 2020년 기존 사업비(889억 원)에 추가로 170억 원을 투입해 긴급 수혈에 나섰다.

170억 원은 영진위의 기존 사업예산 이외 영화발전기금에서 추가 편성할 수 있는 최대 금액으로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한국 영화 제작ㆍ개봉 활성화 특별 지원 △현장 영화인 특별 직업훈련 지원 △중소 영화관 특별 기획전 지원 △영화관람 활성화 지원 등 분야별 특별 지원사업을 시행한다.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연합뉴스

■ 특별지원업종 공연계, 30억 원 규모 긴급생활자금 융통

공연계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코로나19 확산경보가 경계로 격상된 이후 예매 건수가 급격히 감소하는 등 심각한 피해를 보고 있다. 공연예술통합전산망에 따르면 1월 넷째 주 44만 건이었던 주간 예매 건수는 다섯째 주 43만 건이었지만 2월 첫째 주 32만 건에 이어 둘째 주에는 31만 건으로 급감했다.

특히 어린이 전문극장이나 단체관람을 대상으로 하는 공연장에서는 당분간 공연을 할 수 없어 공연 기회를 잃어버린 공연예술인들이 생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대해 문체부는 공연 취소와 연기로 인해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예술인들이 긴급생활자금을 융자받을 수 있도록 다음 달부터 총 30억 원 규모의 자금 지원에 나서기로 했다.

또 관객들의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도록 2월부터 약 2억 2000만 원의 예산을 투입해 민간 소규모 공연장 430곳에 소독ㆍ방역용품, 휴대형 열화상 카메라 등을 지원했다. 피해 경업이 경영애로나 법률에 대한 상담을 받을 수 있도록 예술경영지원센터 안에 '코로나19 전담창구'도 운영했다.

또한 4월부터 코로나19 확산 기간 동안 피해를 받은 공연단체에 대한 총 21억 원 규모의 피해 보전방안도 현장과 소통을 거쳐 추진했다.

정부가 발표한코로나19 피해 중소기업ㆍ소상공인에 대한 지원방안에 포함된 긴급경영 안정 자금 등 2500억 원 규모의 정책금융 지원, 피해 우려 업종 금융지원 프로그램, 국세ㆍ지방세 신고ㆍ납부기한 연장 등 지원정책에 대해서도 현장에 안내한다.

전주국제영화제./연합뉴스

이처럼 연예계 전반적으로 정부에 지원을 요구하고 그에 따른 실질적인 지원이 이어졌지만 실질적으로 코로나19 사태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은 아니라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특히 영화계 종사자 355명은 19일 '영화진흥위원회 코로나19 정책에 대한 범영화인의 요구'라는 성명을 내고 "영진위가 지난 4월 21일 발표한 170억 원의 차 코로나19 대책 지원사업은 비정규 프리랜서 노동자들에 대한 일말의 고려나 배려가 전혀 이뤄지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성명을 발표한 영화인들은 "영진위는 구조보다는 사람, 그것도 창작자와 제작 인력에 집중해야 한다"며 "하지만 관객 할인권 지원을 위해 90억 원을 조성하는 등 다소 탁상공론적 성격의 지원금 구성이 눈에 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코로나19 긴급지원 3차 추경예산이 영화 중소업체, 프리랜서 영화인에 집중하고 직접적이고 즉각적인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최지연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