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오는 11일 최저임금위원회 첫 전원회의 개최
'동결 vs 인상'... 코로나 여파 속 업계와 노동계 입장 팽팽히 맞서
롯데마트 / 사진 = 독자 제공

[한스경제=변세영 기자] 내년도 최저임금을 결정하는 최저임금위원회의 심의가 첫 발을 뗀다. 올해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라는 변수가 등장한 가운데, 고용 노동의 큰 축을 담당하는 유통업계는 최저임금 행방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오는 11일 최저임금위원회는 내년도 최저임금을 심의하고 의결할 근로자위원 구성을 완료하고 첫 전원회의를 개최한다. 최저임금 심의 시즌이 도래하면서 업계와 노동계는 벌써부터 임금 인상을 둘러싼 대립각을 세우고 있는 모양새다.

올해 무엇보다도 가장 큰 변수는 코로나다. 전 세계를 강타한 코로나 사태로 경기가 침체되면서 기업의 매출과 영업이익도 곤두박질치고 있는 상황이다.

업계는 코로나 충격으로 기업의 여건이 급격히 악화된 만큼 최저임금 인상은 힘들다고 말한다. 중소기업중앙회(중기중앙회)에 따르면 최저임금 근로자를 고용 중인 중소기업 600곳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중소기업의 88.1%가 내년도 최저임금 수준이 "올해와 같거나 낮아야 한다"고 답변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저임금위원회

최저임금 시즌이 도래하자 특히나 유통업계는 난감하다는 입장이다. 유통업계는 백화점이나 대형마트 등 업무 특성상 직간접 고용의 상당량을 담당한다. 일례로 대형마트에서 근무하는 계산원(캐셔)은 대형마트가 직접 고용해 인건비를 지급하고 있다.

코로나 충격 와중에 인건비까지 상승하면 경영상 어려움이 더욱더 커질 수 있다는 부정적인 전망이 등장한다. 최근 오프라인 대형마트는 온라인 시장에 밀려 매년 경영실적이 큰 폭으로 악화돼 사업 전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와 관련 롯데는 운영효율이 떨어지는 백화점 5곳, 할인점 16곳, 슈퍼 75곳, 롭스 25곳 등 올해 안에 폐점할 계획이다. 오프라인 업계가 암담한 상황에서 인건비까지 올라가면 폐점 속도가 더욱더 빨라져 일자리 대량 위협이 나타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용역이나 직고용이냐 고용 형태에 따라 타격의 영향은 다르겠지만, (인건비로) 수익성 하락이 오면 후속적인 인원보강 측면에서 자유롭지 못할 수도 있다”라고 설명했다.

편의점업계도 부담스러운 건 마찬가지다. 편의점은 매장을 운영하는 점주가 파트타이머의 인건비를 부담하고 있다. 본사 직고용 형태는 아니지만 가맹점 상황이 본사의 수익성과 직결되는 만큼 최저임금 인상에 조심스럽다.

GS25와 CU와 같은 국내 대형 편의점 본사는 신규 업장에 최저수입을 보존하는 상생정책을 2년간 운영한다. 또한 본사와 가맹점 이익배분율을 조정하는 등의 정책을 실행하며 점주의 부담을 덜어준다. 최저임금이 인상되면 가맹점 수익에 타격이 따르고 덩달아 본사도 지출 비용이 증가할 수밖에 없다.

이마트트레이더스 / 사진 = 변세영 기자
편의점 GS25 / GS리테일 제공

편의점업계 관계자는 “편의점은 가맹점이 수익이 많아야 본사도 프랜차이즈 업을 유지할 수 있는 구조다”라면서 “몇 년 동안 최저임금 인상자체가 좀 급격하게 이루어진 부분이 있는 만큼 감안이 좀 됐으면 좋겠다”라고 말했다.

반면 노동계는 코로나발 고용축소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노동자를 위해 최저임금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올려야 한다고 주장한다. 최저임금이 어느 정도 올라야 소비심리가 살아나는 등 경기 회복도 가능하다고 설명한다. 특히나 일부 업태의 경우 코로나 사태로 오히려 매출이 오른 경우도 있는 만큼 코로나 피해로 인한 임금인상 경계를 이해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올해 최저임금 근로자위원으로 신규 위촉된 한 관계자는 “경영계는 늘 동결 혹은 최소인상을 말해왔다. 상황이 어렵다는 이유로 동결을 주장하는 건 전혀 새롭지 않은 주장이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중에서도 대형마트는 코로나 생필품 구매 증가로 오프라인 매출이 실제 올랐고, 온라인 매출도 큰 폭으로 상승하고 있는데 코로나 피해를 논하는 건 좀 아닌 것 같다”라고 덧붙였다.

한편, 정부는 2018년 최저임금으로 전년 대비 16.4%를 인상한 데 이어 2019년에는 10.9%, 지난해에는 2.9% 인상을 단행한 바 있다. 내년도 최저임금 고시 기한은 오는 8월 5일이다.

변세영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