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구직자들 “채용 인원 감소와 중고 신입만 늘어날 것”
지난해 치러진 삼성직무적성검사에서 취업준비생들이 고사장을 빠져 나오고 있다. /연합뉴스

[한스경제=김창권 기자] 최근 LG그룹이 인재모집에 있어서 정기 공개채용 방식이 아닌 상시 채용에 나선다고 밝히면서 기업들의 이 같은 움직임은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하지만 채용 규모 축소나 직무 경험을 쌓아야 한다는 점에서 대기업의 상시 채용 변화에 대한 우려도 제기된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LG는 올해 9월부터 하반기 신입·경력 사원 채용에 있어서 상시 선발체계로 전환한다. 이미 지난해 정기 공채를 폐지한 현대자동차에 이어 KT도 올해부터 공채 폐지를 선언하고 수시·인턴 채용으로 전환했다.

이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에 따른 '언택트(비대면)' 확산과 미·중 무역전쟁 등 시시각각 바뀌는 대내·외 환경 변화에 따른 적극적인 경영 활동의 일환으로 풀이된다.

최근 들어 코로나19 감염에 대한 우려로 대규모로 사람이 밀집하는 환경을 만들기 어려운 상황에서 정기채용의 경우 좁은 공간에 여러 사람들이 모여서 직무 관련 시험을 치러야 한다는 부담감이 따랐다.

앞서 지난달 31일까지 삼성은 상반기 채용시 자체 필기시험인 직무적성검사(GSAT)를 온라인 시험으로 진행하며 대규모 인력 밀집 등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감염 리스크를 줄였다.

LG 역시 오프라인으로 실시해오던 인적성 검사를 온라인방식으로 진행한다. 인성 검사 문항 수를 절반으로 줄이고, 적성 검사 문제 유형은 온라인에 최적화해 응시 시간을 기존 3시간에서 1시간대로 대폭 단축시킬 예정이다.

특히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인공지능(AI)·모빌리티 등 신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는 상황에서 기존의 고용시스템으로는 이런 시대적 흐름에 부합하지 못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1년에 두 번 상·하반기를 나눠 채용하는 방식으로는 빠른 인재 확보가 어렵고, 협업 부서에서 원하는 인재상에 맞는 인력을 채용하기 위해서도 상시 채용을 통한 인력 관리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또한 공채를 통한 인재 모집에서는 지원자들이 자신의 직무와 상관없는 스팩을 쌓아야 하는 등 불필요한 요건들이 많았지만 이런 직무 관련 상시 채용은 이런 부담을 줄일 수도 있다.

LG그룹 관계자는 “현업에서 필요한 인원을 즉각적으로 채용하기에 미래 산업에 대한 대비가 빨라질 수 있고 직무에 맞춰서 변별력을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처음 시행하는 만큼 9월까지 여러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고, 여러모로 어려운 경제 상황이지만 예년과 비슷한 수준의 채용을 계획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이런 상시 채용은 말 그대로 현업 부서에서 인원 보강을 원할 때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 대기업에서 상시 모집에 나서게 된다는 점은 채용 인원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이미 취업 커뮤니티 등에서는 “상시 채용한다는 건 중고 신입을 원한다는 건데, 경력 쌓기부터 해야 할 판이다”, “정기 공채가 사라지면 채용 규모도 파악하기 힘들어서 실질적으로 채용을 감소하게 될 것이다”, “대부분의 채용이 IT나 이공계열로 몰려있어 문과는 더욱 취업하기 힘들어 지겠다” 등의 우려하는 글들이 늘고 있다.

실제로 구인구직 플랫폼 사람인에 따르면 지난해 상시 채용으로 전환한 현대자동차는 ICT 분야에서 신입 및 경력직을 채용하고 있다. 신입의 경우 데이터 분석 기반 인포테인먼트 기술 기획, 커넥티드카 서비스 설계 및 서버 시스템 설계·구축 등의 부문을 모집한다.

자회사인 현대글로비스도 물류자동화, 디지털전략, IT플랫폼, 빅데이터·AI, 오픈 이노베이션 부문 등 IT 관련 인재를 상시 채용하고 있다.

이처럼 대기업들의 경우 정부의 일자리 확대 요구에 따라 채용을 늘려야 하고, 미래 인재 육성 또한 멈출 수 없는 상황에서 고육지책으로 상시 채용을 확대한 경영 변화는 더욱 가속화 될 것으로 예상된다.

재계 관계자는 “기업들의 경우 일자리 창출이라는 부담을 안고 있기 마련인데, 경제 상황이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어 무작정 채용만 늘릴 수 없다 보니 적재적소에 필요한 인원을 충원하는 상시 모집이 늘어나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이어 “결국 일자리를 늘리기 위해선 신시장 개척이나 미래 산업 개발 등이 이뤄져야 하는 만큼 정부의 규제 완화나 고용 유연성 확대 등의 지원이 필요한 시점이다”고 덧붙였다.

김창권 기자

관련기사

키워드

#채용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