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 자금 확충 작업 난항
LCC, 유상증자·공격적 마케팅 나서고 있지만 전망 불투명
한창수 아시아나항공 사장이 15일 오전 서울 강서구 오쇠동 아시아나항공 본사에서 열린 임시 주주총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스경제=김호연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직격탄을 맞은 항공업계가 여전히 안갯속을 헤매고 있다. 양대산맥을 이루는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저비용항공사(LCC)까지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해 안간힘이지만 업계 전망은 여전히 불투명하다.

아시아나항공은 15일 임시주주총회를 열고 발행 주식 총수와 전환사채(CB) 발행 한도를 늘리는 정관 개정안을 의결했다. 개정안은 주주 전원 찬성으로 통과됐다.

이에 따라 아시아나항공의 주식 총수는 기존 8억주에서 13억주로 대폭 늘었고, CB 발행 한도는 7000억원에서 1조6000억원으로 증가했다.

한창수 아시아나항공 사장은 이날 임시 주총에서 “이번 개정안은 코로나19 여파로 발생할 수 있는 자본 확충 필요성에 대비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업계는 이번 자본 확충이 아시아나항공 인수 재협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 아닌가 노심초사하고 있다. 인수 주체인 HDC현대산업개발이 이번 정관 변경에 대해 지속적인 불만을 표시했기 때문이다.

HDC현대산업개발은 앞서 “현산(HDC현대산업개발)과 미래에셋대우 컨소시엄의 명시적인 부동의에도 아시아나항공은 추가자금의 차입과 부실계열회사에 대한 자금지원 등을 결정하고 관련된 정관 변경, 임시주주총회 개최 등 후속 절차를 강행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아시아나항공은 “그동안 거래계약에서 정한 바에 따라 신의 성실하게 충분한 자료와 설명을 제공하고 협의와 동의 절차를 진행해 왔던 내용”이라고 반박했다.

지난 1분기 기준 아시아나항공의 부채비율은 6280%로, 전 분기 대비 4.5% 폭증했다. 이번 임시 주총에서 정관이 의결됨에 따라 부채비율은 더 증가할 전망이다.

지난 12일 대한항공 송현동 부지 모습. /연합뉴스

대한항공은 서울 종로구 송현동 부지 매각을 위한 예비입찰은 벌였지만 서울시가 해당 부지를 문화공원으로 조성하겠다고 발표하면서 입찰 후보가 나타나지 않아 난항을 겪고 있다.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를 중심으로 기업 자산매입 프로그램을 마련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지만 구체적인 방안이 나오지 않은 상황이다.

대한항공은 송현동 부지를 최소 5000억원에 매각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서울시가 해당 부지 보상비로 4671억원을 책정했고, 그 결과 1차 예비입찰 신청 마감일이었던 지난 10일 입찰자가 아무도 나타나지 않으면서 충격을 안겼다.

대한항공을 이에 반발해 지난 11일 국민권익위원회에 서울시의 송현동 공원 지정 추진과 관련해 고충민원을 냈다.

대한항공 노조 역시 11일 서울시청 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박원순 시장과 서울시는 민간기업의 부지를 헐값에 매입해 유동성 자금을 확보하지 못하게 하려 한다”고 규탄했다.

현재 대한항공은 2차 입차을 계획대로 진행하겠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서울시 역시 대한항공 노사의 반발에도 문화공원 조성 계획을 굽히지 않아 전망이 불투명하다.

LCC역시 코로나19 사태 극복에 여전히 어려움을 겪고 있다. 제주항공과 티웨이항공, 에어부산, 플라이강원 등이 유상증자 등을 추진하고 있지만 열악한 업황에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다.

업계 관계자는 “국내선 유치를 위해 공격적인 마케팅을 벌이는 등 경쟁이 활발하지만 자칫 출혈경쟁으로 흘러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많다”고 지적했다.

김호연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