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부산·세종 등에 시범사업 본격화... 업계, "차세대 해외건설 '게임 체인저'로서 접근 필요" 전망
세종 스마트시티 구상도. /연합뉴스

[한스경제=김준희 기자] 국내외 스마트시티 구축 사업이 본격화되고 있다. 국내 건설사도 ‘미래 먹거리 사업’으로 꼽히는 스마트시티 시장 동향을 주시하면서 관련 기술 보유와 사업 참여·추진에 공을 들이고 있다.

8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국내의 경우 국토교통부와 각 지자체를 중심으로 스마트시티 체제 전환·구축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로 지정된 세종 5-1 생활권과 부산 에코델타시티(EDC) 등에 현대자동차와 KT, LG CNS 등 총 6개업체가 대표사 자격으로 사업법인(SPC) 공모 참여의향서를 국토부에 제출했다. 국토부는 앞서 4월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SPC에 참여할 민간사업자 공모를 진행한 바 있다.

국토부는 “대기업과 중소기업, 스타트업을 포함해 최소 50개 이상 스마트 솔루션 기업과 건설사, 금융사 등이 대표사와 컨소시엄 구성을 검토하며 함께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고 설명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이날 본지와 통화에서 “구체적인 사명을 언급할 순 없지만 메이저를 포함해 다양한 건설사가 의향서에 이름을 올렸다”고 말했다.

충청북도 또한 청주 오송과 오창을 중심으로 청주국제공항과 진천·음성 혁신도시를 연계한 스마트시티 구축을 추진할 계획이다. 지난 6일 ‘2021 스마트시티 챌린지 사업’ 타당성 연구용역 착수보고회를 열고 오송과 오창을 ‘제2의 판교 밸리’로 만든다는 로드맵을 마련했다. 그 외 서울 강남구와 경기 구리·안양, 경북 영주시와 충남 홍성군 등 수도권과 지방 가릴 것 없이 다양한 지자체에서 스마트시티 구축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해외에서도 스마트시티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해외건설협회에 따르면 PWC는 세계 스마트시티 시장 규모가 2018년 737억 달러에서 2022년 1428억 달러로 4년 내 2배 가량 성장될 전망이다.

협회는 “아시아의 경우 1인당 탄소매출량 비중이 증가할 것으로 보여 기후·환경 이슈 해소에 대한 대안으로 스마트시티가 부각되고 있다”며 “국가 경제력·기술력에 따라 차등적으로 개발이 추진되고 있으며 ▲중국 ▲일본 ▲한국 ▲싱가포르 ▲호주 ▲인도 등이 주도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국내 건설사들은 스마트시티에 대해 차세대 해외건설 ‘게임 체인저’로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며 “스마트시티 파급효과를 고려할 때 기존 후발주자 지위에서 선도자로 발돋움할 기회다. 대응책 마련을 통해 미래 건설시장 지형변화에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영미·유럽 종합건설사의 디지털 기술선점으로 시공 등 역량 격차가 확대되고 있다”며 “스마트시티와 선진시장, 고부가가치 영역 진출을 위한 국내외 실적 및 경험 축적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국내 건설사도 미래 먹거리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관련 기술 개발 및 사업 추진·참여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호반건설은 ‘디지털 트윈’ 기술을 보유한 플럭시티와 투자 약정 및 업무 협약 체결을 시작으로 향후 스마트시티 관련해 표준화된 기술을 선보일 계획이다. HDC현대산업개발은 NHN과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스마트시티 플랫폼 사업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한편 해외건설협회에 따르면 스마트시티란 정보통신기술(ICT)로 기존 도시문제 해결과 신규 도시 서비스를 창출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통합 플랫폼이다. 현재 스마트 건설 기술 도입이 스마트시티를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으며 단순 시공을 넘어 고부가 시공 영역 진출 가능성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김준희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