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은행권 “업무 효율성 제고 위해 조정 불가피”
금융당국이 코로나19로 인한 점포 폐쇄 자제를 요구하자 은행권이 당혹스러워하고 있다./그래픽 김민경기자

[한스경제=김형일 기자] 점포 폐쇄를 자제하라는 금융당국의 요구에 은행권이 당혹스러워하는 모습이다. 

23일 은행권에 따르면 윤석헌 금융감독원장은 지난 21일 임원회의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을 이유로 은행들이 단기간에 급격히 점포 수를 감축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윤 원장은 “코로나19 영향과 순이자마진(NIM) 하락에 따른 비용 절감 노력 등으로 점포 폐쇄가 더욱 가속화될 가능성이 있다”며 “은행들의 점포 폐쇄로 고령층 등 디지털 취약계층의 금융서비스 이용에 불편이 초래되지 않도록 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에 은행권은 현실과 동떨어진 요구라고 반박했다. 점포 수가 소폭 감소하는 데 그쳤고 영업 효율성 제고를 위해선 조정이 불가피하다는 주장이다. 

은행권 관계자는 “일반기업들도 코로나19로 어려운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허리띠를 졸라매고 있는 상황”이라며 “은행도 별반 다를 게 없다”고 했다. 

이어 “영업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영업거점을 재배치하는 것”이라며 “인터넷전문은행 이용고객의 증가도 이유 중 하나”라고 호소했다. 더불어 “이러한 상황에서 윤석헌 금감원장의 발언은 은행권에 상당한 부담을 준다”고 했다. 

또 다른 은행권 관계자는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코로나로 인한 언택트(비대면) 심화 등으로 비대면 금융거래 확산 추세는 피할 수 없는 대세”라며 “점포 감소 폭도 크지 않다”고 말했다.

금감원에 따르면 국내은행 점포 수는 지난 2012년 7681개, 2014년 7383개, 2016년 7086개, 2017년 6752개, 지난해 6710개로 줄었다. 올해 3월 말 기준 점포 수는 6652개로 집계됐다. 지난해까지 7년 동안 약 3.31% 감소했다.   

금감원은 디지털 접근이 어려운 취약 계층이 존재하는 만큼 고객의 불편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방안도 병행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신한·KB국민·하나·우리은행 등 4대 시중은행은 점포 통폐합은 불가피하다고 설명한다. 

신한은행은 업무 효율성을 이유로 들었다. 지난 2006년 4월 조흥은행을 합병하면서 인접해 있는 중첩 점포가 생겨났고 이를 통폐합했다는 것이다. 

지난해 말 기준 876개 점포를 운영했던 신한은행은 현재 총 869개 점포를 운용하고 있다. 올해 상반기 3개 점포를 개점하고 4개 점포를 통폐합했으며 하반기에는 6개 점포를 통폐합한다는 구상이다. 

국민은행도 점포 통폐합 배경으로 점주권 영업환경의 변화, 영업점 운영 효율성을 들었다. 또 자동화기기(ATM)운영 및 인근 점포를 통해 기존 고객의 불편을 최소화하겠다고 했다. 

상반기 국민은행은 33개의 점포를 통폐합했다. 지난 1월 전북 군산 소재 군산시청점을 시작으로 이달 서울에 위치한 화곡본동점, 노원역점, 방배동점 등의 문을 닫았다. 

하나은행은 고객에게 전문적인 금융서비스 제공을 위해 통폐합을 결정했다는 입장이다. 하나은행은 올해 상반기 50개의 점포를 통폐합했다. 

또 하나은행은 고령층 등 디지털 취약계층에 대한 편의 증진 방안이 있다고 강조했다. 전국 영업점에 어르신 금융상담 창구를 운영하고 있으며 콜센터 자동응답시스템(ARS)에 어르신이 듣고 이해하기 쉽도록 느린말 서비스를 시행 중이다. 

우리은행은 해당점포의 고객군 특히 고령층 고객의 비중을 고려해 통폐합을 결정했다. 우리은행의 점포 수는 지난해 말 874개에서 올해 1분기 862개로 감소했다. 올해 3개 점포를 개점하고 15개 점포를 통폐합했다. 

향후 우리은행은 점외코너(무인창구)를 최대한 배치해 고객 불편을 최소화할 방침이다. 또 폐쇄점포 직원 일부를 통합점으로 재배치해 폐쇄점포 고객 관리에 나선다.

점포 폐쇄를 자제하라는 금융당국의 요구에 은행들이 당혹스러워하는 눈치다./연합뉴스

김형일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