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2분기 코로나19 여파로 나란히 실적 부진
대우건설·현대건설, 전기차 업계 지분 투자 및 수소연료전지 발전 등 계획 발표
건설업계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타격을 메우기 위해 신사업 추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사진 상단은 대우건설이 지분 투자를 밝힌 휴맥스EV 전기차 충전시설 이미지, 하단은 윤혁노 SK건설 하이테크사업부문장이 온라인 화상 협약식을 마친 후 기념촬영을 하는 모습. /각 사 제공

[한스경제=김준희 기자] 올해 2분기 건설사 실적이 속속 발표되고 있다. 예상대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와 맞물려 기대보다 저조한 모습이다. 국내는 물론 해외 상황도 여의치 않아 신규 수주가 어려운 가운데 각 건설사는 위기를 타개할 신사업 추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건설과 삼성엔지니어링, HDC현대산업개발 등 주요 건설사 2분기 실적 집계 결과 전년 동기 대비 감소한 실적을 기록했다.

현대건설은 2분기 연결기준 ▲매출 4조5442억원 ▲영업이익 1539억원 ▲당기순이익 694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시기에 비해 각각 ▲2.9% ▲37.2% ▲63.9% 줄어든 수치다. 삼성엔지니어링은 ▲매출 1조6743억원 ▲영업이익 858억원 ▲당기순이익 674억원으로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3% 증가했으나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각각 14.2%, 8.2% 하락했다. HDC현대산업개발 또한 2분기 별도실적 ▲매출 9542억원 ▲영업이익 1460억원 ▲당기순이익 106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34.2% ▲25.1% ▲29.3% 감소했다.

예상된 부진이다. 상반기 코로나19 등 예상치 못한 변수가 속출했기 때문이다. 채상욱 DB금융투자 연구원은 “7월 4주 건설업종은 코스피 대비 1.4%p 언더퍼폼(시장수익률 하회)을 기록했다”며 “건설주 실적이 본격화되는 가운데 2분기 코로나19 영향 등이 예상돼 다소 부진한 실적 시즌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향후 코로나19 상황을 낙관할 수 없는 가운데 건설사들은 돌파구 모색에 한창이다. 전통적인 건설사업에서 벗어나 다른 사업과의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사업에 눈독을 들이고 있다. 전기차·수소 등 친환경 사업부터 모듈러 등 디지털·스마트 기술까지 다양한 분야로 손을 뻗고 있다.

대우건설은 전기차 충전기 전문기업인 휴맥스EV에 지분을 투자하기로 했다. 금액은 휴맥스EV 전체 지분의 19.9%다. 사측에 따르면 이번 투자는 신사업 밸류체인 확장 일환이다. 스마트에너지 산업 핵심인 전기차 충전인프라 분야에 진출해 ‘에너지 디벨로퍼’로 도약하고 중장기적으로 에너지 관련 미래 유망시장에 진출한다는 계획이다.

현대건설은 실적 발표에 맞춰 신사업 추진 계획을 발표했다. 사측은 “최근 저탄소와 친환경 경제에 대한 요구가 사회적으로 증대되고 있는 상황에 맞춰 한국형 뉴딜 정책 일환인 신재생 에너지·친환경 중심 미래 동력을 확보할 예정”이라며 “추진 중인 주요 사업으로는 ▲수소연료전지 발전 ▲해상풍력 ▲조류발전 ▲오염토 정화사업 등이 있다”고 밝혔다.

또 “스마트 팜과 케어 팜이 결합된 그린 바이오시티와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정보통신기술(ICT)과 인공지능(AI)이 결합된 스마트시티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고 덧붙여 친환경과 스마트건설 사업 동시 추진 의지를 드러냈다.

SK건설 또한 지난 20일 친환경·신에너지사업 추진을 위한 조직 개편을 단행한 가운데 글로벌 건설자재 및 공구 제작 전문기업인 힐티(Hilti)와 상호협력 협약을 체결하고 신사업모델 발굴에 나섰다.

힐티그룹은 건설과 중공업, 플랜트 분야에서 첨단 기술·구조개선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다. SK건설은 힐티와 스마트건설 기술인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기반 모듈 기술 개발을 협력하기로 했다. 아울러 반도체·전기차 배터리 플랜트, 데이터센터 등 첨단 산업시설 모듈 제작에 사용될 건설자재와 모듈 공법도 개발 중이라고 설명했다.

이처럼 신사업분야에 뛰어드는 건설사는 더욱 많아질 전망이다. 김기룡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건설업종의 경우 코로나19로 인한 해외 수주 및 실적 불확실성 해소에는 시간이 필요하며 분양가상한제 유예 종료 등 부동산 정책으로 과거처럼 높은 주택 부문 실적 성장을 시현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며 “사업 다각화를 비롯한 신사업 발표·구체화가 내용에 따라 매력을 부각시킬 수 있는 이벤트가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준희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