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HDC현산 재실사 요구에 M&A 무산 가능성↑
허희영 항공대 교수 “산은, 전문경영인체제 유력…회생 전망 어려워”
아시아나항공 B747-400. /아시아나항공 제공

[한스경제=김호연 기자] 이스타항공에 이어 아시아나항공도 인수·합병(M&A)이 무산될 수 있지 않냐는 우려가 커지면서 대안을 찾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최근 불거지고 있는 ‘플랜B’로 산업은행의 출자전환 등을 통한 ‘일시적 국영화’다. 하지만 이 방안은 전 세계 항공업계에서 생존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29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HDC현대산업개발은 지난 28일 산업은행 등 채권단과 아시아나항공에 재실사를 요청했다.

HDC현대산업개발은 “아시아나항공의 부채가 급격히 늘어나는 등 인수 조건을 원점에서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며 재실사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업계는 HDC현대산업개발의 재실사 요구를 주식매매계약(SPA) 파기를 위한 명분 쌓기라는 관측이 나온다. 그동안 HDC현대산업개발은 채권단과 아시아나항공의 거듭된 협상 재개 요구에도 침묵으로 일관해 이러한 관측이 제기된다.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아시아나항공의 경영환경이 계속 나빠지는 것에 큰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알려졌다. 두 회사의 거래종료기한(딜클로징)은 올해 말까지다.

하지만 제주항공과 이스타항공의 M&A가 무산된 것처럼 HDC현대산업개발의 부담감이 가중되는 상황이라 가능성이 높지 않다는 분석이다.

결국 아시아나항공이 새 주인을 찾지 못하면 산업은행이 계열사 분리 매각 또는 출자전환을 통해 최대주주에 오르며 사실상 ‘일시적 국유화’될 가능성이 크다. 일시적 국유화는 기존에도 대우조선해양, 대우인터내셔널 등 부실화된 기업이 정상화 되기까지 산업은행을 비롯한 주요 채권단이 경영을 좌지우지하는 것을 말한다.

정부나 산업은행을 비롯한 채권단 입장에서는 아시아나항공이 파산 절차를 밟게 되면 약 1만명에 이르는 근로자가 거리에 나앉게 되는 등 사회적 충격도 상당해 어떻게든 아시아나항공을 지켜야 하는 상황에 봉착해 있다.

이러한 전망에 힘이 실리면서 일각에선 국영 항공사의 등장이 현실화되는 것 아니냐는 전망이 제기되고 있다.

아시아나항공이 다른 공기업처럼 국유화되면 국가의 지원을 등에 업고 회생할 것이란 기대감 때문이다.

업계에 따르면 이러한 기대는 ‘백일몽’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산업은행이 아시아나항공을 떠안는다 해도 장기화 되고 있는 코로나19발 불안전성은 언제 가라앉을지 알 수 없다.

정부의 지원을 등에 업는다 해도, 매출의 약 90%가 국제선에서 나오는 국적 항공사의 특징상 수요 회복이 좀처럼 쉽지 않을 것이라는 얘기다.

경영구조상의 문제도 지적받는다. 산업은행이 대주주에 오르게 되면 오너가 없는 전문경영인 체제가 들어서게 되는데, 항공업계에서 전문경영인 체제는 성공한 역사가 없다는 게 전문가의 지적이다.

허희영 한국항공대학교 교수는 “산업은행이 아시아나항공의 최대주주가 된다고 해도 대우조선해양처럼 전문경영인체제를 기반으로 경영 관리에 나서는 수준일 것”이라며 “향후 아시아나항공이 어느 정도 회생하고 코로나19 사대가 잠잠해지면 재매각을 통해 민영 항공사로 되돌릴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경제가 낙후된 일부 후진국이 아니면 국영 항공사는 좀처럼 보기 어렵다”며 “전문경영인체제로 운영하는 항공사 역시 성공한 항공사는 국제 항공 역사에서 전무할 정도로 전문경영인체제의 항공사가 생존하기 어려운 게 업계 환경이다”라고 설명했다.

업계 관계자는 “코로나19로 인한 전 세계 불안전성이 계속되고 있어 좀처럼 경기회복이 어려운 상황”이라며 “코로나19 이후 기업 회생에 성공한다 해도 예전 아시아나의 명성을 찾을 수 있을지는 모르겠다”라고 말했다.

김호연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