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하반기 실적 자신감” vs “완전 민영화 준비”
우리금융지주 경영진이 자사주를 매입하면서 그 이유를 두고 설왕설래가 이어지고 있다./연합뉴스

[한스경제=김형일 기자] 우리금융지주 경영진이 자사주를 매입한 가운데 그 이유를 두고 설왕설래가 이어지고 있다. 

11일 금융권에 따르면 우리금융은 전날 손태승 우리금융 회장을 비롯한 경영진이 자사주 8만5000주를 장내 매수했다고 발표했다. 

특히 손 회장은 이번에 자사주 5000주를 구입하며 보유지분을 8만3127주까지 끌어올렸다. 올해에만 자사주를 네 차례 구매한 것이다. 

이외에도 권광석 우리은행장이 이번에 자사주 5000주를 사들였으며 주요 자회사 대표와 지주사 및 우리은행 임원 41명이 자사주 총 8만주를 구매했다.  

우리금융 관계자는 “이번 자사주 매입은 책임경영 강화와 주주가치 제고 차원에서 이뤄졌다”며 “올해 상반기 실적발표 이후 하반기 수익성 회복에 대한 자신감을 표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업계 일각에선 완전 민영화를 염두에 둔 행보로 해석하고 있다. 자사주 매입을 통해 주가 부양을 도모하고, 이후 완전 민영화에 나설 것이라는 전망이다. 

완전 민영화는 우리금융의 숙원으로 예금보험공사(예보)가 보유한 잔여지분 17.25%를 넘겨받아야 가능하다. 현재 발목을 잡고 있는 것은 낮은 주가다. 연초 1만~1만1000원 수준이었던 주가는 11일 종가 기준 9050원까지 내려앉았다. 

금융권에선 주가가 최소 1만2300원을 넘어서야 완전 민영화가 가능할 것으로 추산한다. 정부 투입한 공적자금을 모두 회수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금액이라는 분석이다. 

예보는 지난 2001년 금융기관 부실을 정리한다는 취지로 우리은행의 전신인 한빛은행 등 5개 은행을 통합하고 우리금융을 출범시켰다. 

이때 공적자금 12조8000억원을 쏟아부었으며 우리금융 지분 100%를 확보했다. 이후 예보는 2010년 일부 지분을 매각하는 등 부분 민영화를 이어갔고 공적자금을 일부 회수했다. 

지난 6월 금융위원회 산하 공적자금위원회(공자위)가 우리금융 완전 민영화를 막힘없이 추진하겠다고 밝히면서 우리금융이 발을 맞추고 있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공자위는 지난해 6월 우리금융 매각로드맵을 발표했다. 이를 통해 예보 지분 17.25%를 2~3차례 나눠서 분산 매각하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공자위는 올해부터 매각 작업을 시작해 오는 2022년까지 완전 민영화 작업을 마치겠다는 입장이다.   

한편, 증권사들은 자사주 매입이 주가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은 만큼 이번 행보는 하반기 실적에 대한 자신감을 내비친 것으로 파악했다. 

서영수 키움증권 연구원은 “이번 자사주 매입이 주가 상승에 끼치는 영향은 미미하다”며 “오히려 저평가된 금융주가 주가 상승 요인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하반기 실적은 올해 2분기 이연된 충당금 영향으로 더 좋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박혜진 대신증권 연구원은 “완전 민영화를 고려한 조치보다는 우리금융 경영진이 하반기 실적에 대한 자신감을 보인 것으로 판단된다”며 “완전 민영화는 비은행 인수합병(M&A)이 선행된 이후 가능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김형일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