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지난해 102.9로 2017년 이후 2년 연속 감소
코로나19 영향 산업 위기 /연합뉴스

[한스경제=김창권 기자] 최근 국내 제조업 생산능력 둔화로 고용 환경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은 1990년부터 작년까지 국내 제조업 생산능력지수를 분석한 결과 2017년 이후 2년 연속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24일 밝혔다.

제조업 생산능력지수는 설비, 인력, 노동시간 등 조업 환경이 정상적인 상태라고 가정했을 때 생산할 수 있는 최대 실적을 말한다.

한경연에 따르면 국내 제조업 생산능력지수는 2017년 103.1로 정점을 기록한 이후 2018년(103.0)과 지난해(102.9)에는 낮아졌다.

제조업 생산능력지수의 연평균 증가율을 5년 단위로 비교하면 2016년부터 작년도까지의 연평균 증가율은 역대 최저수준인 0.7%였다. 1991년부터 2015년까지의 연평균 증가율(4.7%)에 비하면 7분의 1 수준이었다.

한경연은 일자리 창출 잠재력이 높은 고용친화형 업종의 생산능력이 정체되거나 하락한 것으로 나타나 고용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우려했다.

2018년 생산액 기준 상위 10대 제조업 중에서 작년 생산능력지수가 2015년에 비해 1% 이상 향상된 업종은 전자부품(20.1%), 화학(8.0%) 등 5개였다.

생산능력이 1% 이상 감소한 업종은 2개로 고무·플라스틱이 3.6%, 금속·가공이 8.5% 줄었다. 2015년 수준을 유지한 업종은 기타 기계 및 장비, 자동차 및 트레일러 등 3개였다.

이들 업종의 제조업 생산액 비중(2018년 기준)을 살펴보면 생산능력이 상승한 5개 업종의 비중이 55.1%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생산능력이 정체한 3개 업종과 하락한 2개 업종의 비중은 각각 34.1%, 10.8%였다. 

고용 비중을 살펴보면 생산능력이 정체하거나 하락한 업종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산능력이 상승한 업종은 국내 고용 비중이 39.7%, 정체한 업종은 35.2%, 하락한 업종은 25.1%였다.

한경연은 고용인원 비중이 높은 5개 업종(기타 기계 및 장비, 금속가공제품, 전자부품, 자동차 및 트레일러, 고무 및 플라스틱) 중 전자부품을 제외한 4개 업종의 생산능력이 정체되거나 하락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또 일자리 해외 유출 등으로 고용 환경이 악화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한경연은 한국수출입은행의 현지법인 업종별 자료를 분석한 결과, 10대 제조업 중 생산능력지수 감소폭이 8.5%로 가장 컸던 금속가공제품 업종의 2018년 해외 종업원 수는 2015년에 비해 47.5%(1만4898명)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우리나라도 노동시장 유연성 제고, 기업관련 규제 개선, 각종 투자 인센티브 제공 등을 통해 경쟁국보다 제조업 경영환경의 비교우위를 확보해야 양질의 일자리 창출이 가능할 것"이라고 전했다.

김창권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