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9월부터 ICT 기술 활용…코로나19 확산·비대면 돌봄서비스 가능
응급상황 신속 대응…2022년까지 30만명 지원
정부세종청사 보건복지부

[한스경제=홍성익 보건복지전문기자] 보건복지부가 독거노인·중증장애인의 댁내 화재, 낙상, 건강상 응급상황 등 발생 시 이를 실시간으로 소방서 등과 연계해주는 ICT(정보통신기술) 기반 차세대 응급안전안심서비스 댁내장비 10만 대를 연내 신규 보급에 나선다.

제공= 보건복지부

8일 복지부에 따르면 차세대 댁내장비는 최신 사양의 응급호출기, 화재감지기, 활동량감지기, 조도·습도·온도감지센서 및 태블릿pc 기반의 통신단말장치 등 최신 ICT 기술을 전면 도입한 것이 특징이다.

이를 통해 댁내에서 홀로 생활하는 노인 또는 중증장애인이 스스로 응급전화를 하기 어렵더라도 장비의 다양한 감지기들이 24시간 서비스 대상자의 댁내활동, 심박·호흡, 수면시간 등을 확인하고 화재, 낙상 등 응급상황에서 119 구호조치가 가능하도록 자동 연결한다.

특히, 코로나19가 확산되는 상황에서 생활지원사 등 사회복지 종사자들이 댁내에 방문하지 않고도 디지털 기술을 통해 비대면으로 돌봄이 가능해진다는 측면에서 큰 효과를 발휘할 전망이다.

차세대 댁내장비는 2008년부터 운영해온 기존 댁내장비가 그간 노후화되고 오작동이 잦아 최신장비로 교체가 필요하다는 국회 지적 등에 따라 오작동을 대폭 줄이고 보다 광범위하게 응급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입했다.

독거노인·중증장애인의 댁내에서 화재가 발생하거나 침대에서 낙상, 화장실에서 실신 등 다양한 응급상황이 발생하면 집안 구석구석에 설치된 여러 가지 센서가 상황을 인지해 게이트웨이에서 자동으로 119를 호출하거나 본인이 응급버튼을 눌러 119 호출이 가능하다.

응급상황 발생 시 지역의 응급안전안심서비스 수행기관의 종사자에게도 알람이 동시에 전달되며 종사자는 휴대폰을 통해서도 돌봄대상자의 건강상태에 대한 상시 점검을 수행한다.

복지부는 차세대 댁내장비 10만 대 본격 보급에 앞서 지난 6월부터 3개 기초자치단체 240가구를 대상으로 새로운 장비를 테스트하는 시범사업을 실시했다.

제공= 보건복지부

복지부는 연말까지 10만대를 전국 가구에 보급한 뒤 내년과 후년에 각 10만대씩 2022년까지 총 30만 명에게 보급할 예정이다. 또 기존 장비 9만9000대도 내년까지 차세대 장비로 교체할 예정이다.

차세대 응급안전안심서비스 도입을 희망하는 가구는 읍·면·동 주민센터, 응급안전안심서비스 지역센터,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수행기관, 장애인활동지원기관 등에서 신청하면 된다.

신청자격은 혼자 사는 만 65세 이상 가운데 △기초생활수급자나 차상위에 해당하는 치매 또는 치매고위험군 △지방자치단체장이 생활여건, 건강상태 등을 고려해 상시 보호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람 △노인맞춤돌봄서비스 대상자 중 상시 안전확인이 필요한 사람이다.

또 장애인활동지원 수급자로 독거, 취약가구, 가족의 직장·학교생활 등으로 상시 보호가 필요한 사람도 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다.

곽숙영 복지부 노인정책관은 “차세대 응급안전안심서비스 댁내장비 보급을 통해 독거노인·중증장애인이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고, 특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상황에서 비대면 돌봄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복지부는 앞으로도 소방청 등 관계부처 및 지자체와 지속 협력을 통해 취약계층 댁내 응급안전 강화를 지속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홍성익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