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최근 추석 대비한 분류작업 인력 충원 촉구 이어져…CJ대한통운 ‘MP’, 해결책 부상
“근본적 해결책 아니다”지적도 있어
서울 시내의 한 택배 물류센터에 택배가 쌓여 있다. /연합뉴스

[한스경제=김호연 기자] 추석 대목을 맞은 택배 업계에서 택배 기사 처우 개선의 목소리가 높아지면서 CJ대한통운이 최근 도입한 자동분류 시스템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일각에선 택배 물량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소형 택배를 자동으로 분류하면 업계 차원에서 노동력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8일 택배업계에 따르면 택배 노동자들은 대목인 추석을 대비해 분류작업 인력 투입을 촉구하고 있다. 택배노동자과로사대책위원회과 전국택배연대노동조합은 지난 7일 서울 여의도 국회를 출발해 정부서울청사로 향하는 추모행진을 진행하며 목소리를 높였다.

이 차량행진은 올해 들어 과로로 숨진 택배 종사자 7명을 기리고, 택배 노동자의 근무환경 개선에 대한 목소리를 내기 위해 진행했다. 서울·경기·강원·충청·호남 등 전국 10개 지역 14곳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진행됐다.

택배노동자과로사대책위원회는 이 자리에서 “택배 노동자의 과로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가장 실효성 있는 대책은 분류작업 인력 투입”이라며 “택배 노동자 하루 노동시간의 절반이 분류작업에 소요된다”고 지적했다.

김세규 택배연대노조 교육선전 국장은 “분류작업은 택배노동의 오래된 문제인데 코로나19 재확산에 추석까지 겹친 시기를 맞아 한시적으로라도 분류작업 인력이 투입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책위는 오는 16일까지 정부와 택배업체에서 대책을 마련하지 않으면 택배 노동자 총투표를 거쳐 21일부터 분류작업을 거부할 계획이다.

택배 노동자의 급여는 배달 건수에 따라 책정된다. 분류 작업에 대한 대가는 없다.

대책위에 따르면 택배 물량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비대면 거래가 늘면서 약 30% 증가했다. 추석 연휴가 포함된 9월~11월은 50%이상 증가할 전망이다.

하루의 절반 이상을 소모하게 되는 분류 작업이지만 이에 대한 보수는 지급되지 않는 상황에서, 택배 물량이 급증하면 노동자는 생명의 위협까지 느끼게 된다는 게 택배 노조와 대책위의 입장이다.

CJ대한통운이 본격 도입하는 소형 택배 자동 분류 시설 ‘MP’. /CJ대한통운 제공

이에 즉각적인 해결책은 아니지만, 최근 CJ대한통운이 택배 자동 분류 시설을 본격 운영하면서 오랜 갈등을 해소할 수 있다는 기대가 나오고 있다.

CJ대한통운은 소형 택배 분류를 전담하는 자동화 시설 ‘MP’(Multi Point) 운영을 본격화했다. 택배를 자동을 분류한 것은 국내에서 CJ대한통운이 처음이다. 택배 빅데이터를 분석해 소형 상품 주요 발생 지역을 선정해 현재 27곳에서 본격적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약 1600여억원을 투자해 내년 말까지 총 77곳에 설치할 예정이다.

CJ대한통운에 따르면 소형 상품(가로, 세로, 높이 세 변의 합이 100㎝ 이하) 비중은 전체의 87.3%다. MP는 하나의 작업라인으로 운영하던 기존 택배터미널에 분류 시설을 추가 설치해 상품 크기에 따라 중대형 상품은 1층, 소형 상품은 2층으로 나눠 동시에 운영하는 형태다.

CJ대한통운은 MP를 통해 “작업물량 집중도를 분산시키고 최종 배송지역 단위까지 자동으로 분류하면서 생산성과 편의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했다”고 평가했다.

MP 시스템과 유사한 체계가 택배업계 전반에 확산되면 노동자는 효율성을 확보하고 부담을 덜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일각에선 근본적인 해결책이 아니라고 지적한다.

경기도의 한 아파트 단지에서 택배를 배송하던 기사 A씨는 “택배 기사가 분류 작업에서 제외되는 것이 아니다”라며 “시간적 여유와 효율성은 높아질 수 있지만 택배 노동자가 소형 택배를 제외한 나머지 택배의 분류를 대가 없이 해야 하는 현실은 달라지지 않을 것 같다”고 지적했다.

김호연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