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박기정 경희대병원 신경과 교수, “혈관 위험인자 적극 관리해야”

[한스경제=홍성익 보건복지전문기자] 나이가 들수록 건강 걱정에 여념이 없다. ’암‘ 이외에도 스스로 정상생활을 영위할 수 없게 만드는 신경퇴행성 뇌질환에 대한 두려움도 크다. 대표적으로 ’치매‘가 있다.

박기정 교수/제공= 경희대병원

환자 본인은 물론 가족, 주변사람들에게 전적으로 의지하며 경제적·심적 고통을 주기 때문이다. 세계 알츠하이머의 날이자 치매 극복의 날을 맞아 치매의 주된 원인으로 손꼽히는 알츠하이머병에 대해 박기정 경희대병원 신경과 교수로부터 알아봤다.

◇치매환자 4명 중 3명은 알츠하이머병

65세 이상 노인인구 대상 추정 치매 유병률은 약 10%가 넘는다. 중앙치매센터에 따르면 2018년 기준 남성은 38%, 여성은 62%로 여성 환자가 더 많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65~69세 4.2%, 70-74세 9.0%, 75-79세 23.3%, 80-84세 27.2%, 85세 이상이 33.7%를 차지한다.

박기정 교수는 “치매는 대표적인 노인성 질환이기 때문에 나이가 들수록 자연스럽게 발생 빈도는 높아진다”며 “다양한 발병 원인이 있겠지만, 알츠하이머병은 75%를 차지할 만큼 치매를 유발하는 가장 흔한 원인”이라고 말했다.

알츠하이머병의 발병 원인에 대해 여러 가설이 제시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정확하지 않다. 나쁜 단백질인 아밀로이드 혹은 비정상적인 타우 단백질이 뇌 속에 쌓여 신경세포들이 손상되고 뇌기능이 떨어져 발생하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위험 요인은 머리 손상, 우울증, 저학력 이외에도 최근에는 유전적인 요인과 혈관 위험인자들이 주목받고 있다.

◇일시적인 건망증일까?

초기 증상은 사소한 기억력 감퇴다. 최근 기억이 저하되고 새로운 이름을 익히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시간이 지날수록 증상은 더욱 악화되고, 사고력, 이해력, 계산능력 등 인지기능에 여러 문제가 발생한다. 결국 혼자서는 정상적으로 일상생활을 유지하는 데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된다.

박기정 교수는 “익숙하게 사용하던 도구를 잘 사용하지 못하고, 성격의 변화나 이상 행동이 관찰되기도 한다”며, “뇌세포 손상이 비교적 적은 초기에는 건망증과 증상이 유사해 다수의 환자들은 무심코 넘기기도 하는데, 특정 힌트를 제시하면 기억을 해내는지 여부로 건망증과 치매를 구별할 수 있다”고 말했다.

단순 건망증은 뇌에 각종 정보들이 입력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단서가 주어지면 다시 기억해낼 수 있다. 반면, 치매는 정보 입력이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힌트가 제시되더라도 지난 일들을 회상하는 데 한계가 있다.

단, 인지저하 상태가 일상생활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고 안심해서는 안 된다. 기억성 경도인지장애 환자의 약 10~15%가 매년 알츠하이머병 치매로 발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박기정 교수는 “약물·비약물 요법을 통해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을 뿐, 완치는 어렵다”며 “평소 규칙적인 운동과 식이조절, 더 나아가 혈관 위험인자를 적극 관리하는 노력을 통해 치매를 사전 예방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

홍성익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