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현대차 2009년 이후 첫 임금 동결…기아·르노·지엠 협상 진행 중
부품사까지 경영난 확대되는 만큼 빠른 협상 압박 이어질 듯
현대차 울상공장 야적장. /연합뉴스

[한스경제=김호연 기자] 현대자동차 노사가 당초 목표 시점이던 추석 연휴 전에 임금단체협상(임단협)을 마무리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다른 국내 완성차업계는 여전히 노사 협상이 교착상태에 빠져 온도차가 상당하다.

따라서 국내 업계 1위 현대차가 조기에 임단협을 마친 만큼 타사 노조 역시 조기 타결에 대한 압박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의 장기화로 국내·외 산업계의 경영난이 가중되고 있는 상황에서 노조 역시 강경한 태도로 나오기엔 부담이 크기 때문이다.

22일 자동차업계에 따르면 현대차 노사는 지난 21일 울산공장 등 3곳에서 화상 회의로 열린 임단협 13차 교섭에서 잠정 합의안을 도출했다.

잠정 합의안은 ▲임금(기본급) 동결 ▲성과금 150% ▲코로나 위기극복 격려금 120만원 ▲주식 10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전통시장 상품권 20만원 등을 담고 있다.

현대차의 임금 동결은 1998년 외환위기, 2009년 세계 금융위기 이후 3번째다. 지난해에 이은 2년 연속 무분규 합의이기도 하다.

또 잠정 합의까지 걸린 기간도 40일로 2009년 38일에 이어 두 번째로 짧다. 잠정 합의안은 오는 25일 노조원 전체 투표를 통해 최종 확정할 예정이다.

국내 업계 1위 현대차 노사가 임단협이 추석 연휴 전 마무리 단계에 들어서면서 협상을 마무리한 노사는 쌍용자동차와 현대차 두 곳이 됐다. 경영난이 심각한 쌍용차는 일찌감치 임단협을 마무리했다. 다른 업체는 아직까지 의견 대립이 이어지고 있어 자동차 업계 온도차가 뚜렷한 상황이다.

노사가 가장 팽팽하게 대립 중인 곳은 한국지엠이다. 한국지엠 노사가 지난 7월 말부터 12차례 교섭을 진행했으나, 의견 차이가 좁혀지지 않아 결렬을 선언한 것이다.

사측이 노조 측에 임단협 주기를 기존 1년에서 2년으로 늘릴 것과 지난해 실적을 토대로 내년 1월에 성과급 170만원을 주는 안을 제시했다.

노조는 임단협 주기 연장에 반발하며 기본급 월 12만304원 인상, 통상임금의 400%에 600만원을 더한 성과급(1인 평균 2000만원 이상) 지급 등을 요구했다. 그리고 양측의 의견차가 좁혀지지 않아 협상 결렬까지 선언하게 됐다.

하지만 최근 노사가 다시 협상 테이블에 앉았고, 집중 교섭이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지엠 노조. /연합뉴스

르노삼성자동차 노사는 노조의 내부 갈등으로 협상이 교착 상태에 빠졌다. 노조 지도부가 추진한 민주노총 가입 시도가 노조원의 투표 부결로 무산되는 등 노조 내 노선 갈등이 이어지고 있어서다.

르노삼성차 노조는 기본급 7만1687원(4.6%) 인상과 코로나19 영향에 따른 일시금 700만원 지급, 발전기금 12억원 조성 등을 요구했다. 양측은 6차례 실무교섭을 가졌지만 추가 교섭을 못하고 있다. 여기에 오는 25일부터 18일까지 공장 가동을 멈출 것이라는 위기감도 고조되고 있다.

기아자동차는 노조가 기본급 인상, 지난해 영업이익 30% 성과급 지급 등을 요구하고 있다. 여기에 전기차 생산체제 전환에 따른 고용 불안이 고조되고 있다. 기아차 노조는 전기차 핵심 부품을 현대모비스 등 부품사가 아닌 직접 생산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고, 사측은 생산 효율과 재정 상황 등으로 난색을 표시하고 있는 상황이다.

다만 코로나19 사태 장기화에 현대차 노사의 임단협 무분규 협약의 영향으로 급물살을 타지 않겠냐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아직 협상이 진행 중인 업체의 노조에겐 현재 상황이 요구안을 관철하기엔 달갑지 않은 상황이다. 코로나19 사태로 자동차 업계 전체에 위기감이 고조되는 가운데 노조도 사측에 협조적이어야 한다는 여론이 확대되고 있어서다.

자동차산업협회에 따르면 현대차, 기아차, 쌍용차 등 완성차 3개 상장사의 상반기 영업이익은 41.3% 감소, 이에 따른 부품사 84개사의 영업이익은 111.3% 감소했다.

많은 부품사가 경영난을 호소하고 있는 만큼 자동차 업계 노조에겐 부담과 압박이 가중될 것으로 전망된다.

업계 관계자는 “자동차 업계 전반에 위기감이 커지고 있는 만큼 양측 모두 어느 때보다 책임감 있는 자세로 협상에 임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호연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