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주요 외신, 김정은 국무위원장 사과 소식 긴급 보도
“북한 지도자 사과, 극히 이례적”
27일 오전 11시께 목포항 도착…실종 엿새만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남측 공무원 사살 사건 경위에 대해 설명하는 통지문을 보냈다. / 연합뉴스

[한스경제=허지형 기자] 북한이 남측 공무원 사살 사건 경위를 설명하면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사과했다고 밝힌 것은 이례적인 조치라는 관측이 나온 가운데 공무원 A 씨가 탑승했던 어업지도선 ‘무궁화10호’가 전남 목포 서해어업관리단으로 돌아온다.

◆ “북한지도자 사과 이례적”

외신은 25일(현지시간)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남측 공무원 사살 사건에 대해 사과한 것은 한반도 긴장 고조를 낮추려는 의도가 있다는 평가를 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유엔총회에서 종전선언을 언급한 것과 동시에 이번 사건에 대한 정부 대응을 둘러싼 한국 내 비판론이 제기되는 상황에서 사과를 전한 것에 대해 주목했다.

앞서 북한 대남기구 통일전선부는 청와대에 보낸 통지문에서 “우리 측은 북남 사이 관계에 분명 재미없는 작용을 할 일이 우리 측 수역에서 발생한 데 대해 귀측에 미안한 마음을 전한다”고 했다.

아울러 “가뜩이나 악성 비루스 병마에 위협으로 신고하고 있는 남녘 동포들에게 도움은커녕 우리측 수역에서 뜻밖에 불미스러운 일이 발생해 문재인 대통령과 남녘 동포들에게 커다란 실망감을 더해준 데 대해 대단히 미안하게 생각한다는 뜻을 전하라고 했다”고 전했다.

이에 미국의 뉴욕타임스, 영국 BBC 등 외신들은 “김정은 위원장이 사과를 한 것은 매우 이례적”이라면서 이런 움직임은 한국 내 반북 감정과 문재인 대통령에 대한 비판 고조 완화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북한 독재자의 사과는 이례적”이라며 “북한이 남한 민간인을 살해했을 때 연민이나 유감을 표현한 적은 있지만, 지도자의 말을 인용해 직접 문서로 낸 적은 거의 없다”고 평가했다.

워싱턴포스트는 북한의 사과와 결부돼 한국이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사태에 관한 공감을 표하는 북한의 친서를 공개한 것은 남북 어느 쪽도 이 사건의 결과로 양국 관계의 파열이 확대되는 위험을 무릅쓰고 싶지 않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뉴욕타임스는 김 위원장의 즉각적 사과가 집권 이후 처음 있는 일이라면서 한국과의 관계에서 심각한 위기가 될 수도 있었던 일을 막은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또 한국의 일부 분석가들은 김 위원장의 사과가 교착상태인 남북관계의 전환점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25일 오전 인천시 옹진군 연평도 인근 해상에 정박한 실종된 해양수산부 공무원이 탑승했던 어업지도선 무궁화 10호에서 해경선으로 보이는 선박 관계자들이 조사를 벌이고 있다. / 연합뉴스

◆ 피격 공무원 탑승 ‘무궁화10호’ 귀항

서해 최북단 연평도 해상에서 실종된 후 북한군에 피격·사망한 해양수산부 서해어업관리단 소속 공무원 A 씨(47)가 탑승했던 어업지도선 ‘무궁화10호’가 27일 전남 목포 서해어업관리단으로 돌아온다.

26일 해수부에 따르면 A 씨가 실종 직전까지 탑승하고 있던 무궁화10호는 인천 해양경찰의 조사를 마치고 이날 오전 8시께 목포항을 떠난다.

A 씨의 실종 사실이 알려진 후 무궁화10호는 21일 이후 소연평도에서 2.2km 떨어진 해상에서 정박한 채 그대로 머물렀고, 해경은 수사관 3명을 파견해 A 씨 실종 전후의 선내 상황을 대한 조사를 벌여왔다.

무궁화10호는 이후에도 주간에만 운항하고 밤에는 해상에 정박하기로 해 출항 27시간 후인 27일 오전 11시께 전남 목포항에 입항할 예정이다.

무궁화10호에는 A 씨와 함께 승선했던 15명의 동료 어업지도원이 그대로 탑승했으며 이들은 목포항 도착 후 일단 귀가할 방침이다.

한편, 북한이 등산곶 부근에서 A 씨를 발견한 정황이 군 당국에 포착되고도 총격이 가해질 때까지 약 6시간 동안 지켜보기만 하고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은 사실이 전해져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군 당국은 북측 해역에서 발생한 사건이고 정확한 장소를 특정할 수 없다고 했다. 또 과거에 월북하면 우리 측에 인도했기 때문에 총살할 거라고 생각하지 못했다고 했다. 아울러 정보 자산이 드러날 우려도 언급했다.

허지형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