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독감백신 및 코로나19 치료제·백신으로 주목
GC녹십자 외관. /GC녹십자 제공

[한스경제=이승훈 기자]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와 독감(인플루엔자)의 동시 유행 공포가 퍼지면서 GC녹십자도 백신 및 치료제 개발과 생산으로 주목받고 있다.

최근 독감백신 품귀현상이 GC녹십자의 실적에 고스란히 반영됐다. 또 다국적제약사 백신 위탁생산(CMO) 소식과 코로나19 치료제 개발 등 연이은 희소식에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다.

 

독감백신 품귀…3분기 실적에 영향

증권업계에 따르면 GC녹십자의 3분기 연결기준 매출은 4200억~4400원대, 영업이익은 400억원대 중반~500억원대 중반으로 예상된다. 전년 대비 매출은 약 16~19%, 영업이익은 40~50% 증가한 수준이다.

선민정 하나금융 투자 연구원은 "트윈데믹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3분기 국내 독감 백신은 전년 대비 약 47% 증가한 775억원의 매출을 달성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이어 "3분기 북반구향 독감 백신은 전년 대비 70% 증가하면서 약 120억원 매출을 달성할 것으로 보인다"며 "WHO(세계보건기구) 입찰 북반구향 독감 백신 주문량은 올해 320억원 규모로 4분기에는 잔여 물량인 약 200억원의 독감 백신 수출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코로나19 백신 위탁생산 소식에 강세

트윈데믹 우려가 계속되는 가운데 GC녹십자의 백신 위탁생산 소식과 코로나19 치료제 개발 추이에도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GC녹십자는 글로벌 민간기구인 전염병예방혁신연합(CEPI)과 코로나19 백신 위탁생산을 위한 계약을 21일(현지시간) 체결했다.

이에 따라 GC녹십자는 내년 3월부터 2022년 5월까지 CEPI의 코로나19 백신 생산 기지로 활용된다. GC녹십자가 생산 계약을 맺은 분량은 1년 2개월간 5억 도즈(1회 접종분) 이상이다.

다만 아직 어떤 기업의 백신을 위탁 생산할 지에 대해서는 결정되지 않았다.

GC녹십자 허은철 대표는 “현재 GC녹십자는 코로나19 혈장치료제를 개발 중”이라며 “이제 CEPI와 손잡고 코로나19 백신을 생산함으로써 전염병에 대한 임무를 계속 수행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GC녹십자의 주가는 CEPI와 글로벌 코로나19 백신 위탁생산(CMO)을 하기로 한 22일과 다음날까지 2거래일 연속 급등세를 보였다.

GC녹십자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혈장치료제 'GC5131A' 생산 현장. / GC녹십자 제공

코로나19 혈장치료제 ‘치료 목적 사용 승인’

아울러 최근 GC녹십자는 개발 중인 코로나19 혈장치료제가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로부터 '치료 목적 사용 승인'을 받았다. 임상시험과는 별개로 의료 현장에서 코로나19 ‘치료 목적’ 환자에게도 혈장 치료제를 쓸 길이 열린 셈이다.

GC녹십자의 코로나19 혈장치료제 'GC5131A'는 칠곡 경북대학교병원에서 코로나19 환자의 치료에 사용하게 된다.

GC녹십자 관계자는 "현재 코로나19 혈장치료제에 대한 의료계의 문의가 이어지고 있어 현장에서 치료 목적의 사용이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실제로 지난 8월 임상 2상 승인이 나온 직후부터 의료진들의 사용 가능 문의가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다.

식약처는 다른 치료 수단이 없거나 생명을 위협하는 중증 환자 등의 치료를 위해 허가되지 않은 임상시험용 의약품이더라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치료목적 사용승인 제도를 운용 중이다.

전 세계에서 개발되고 있는 코로나19 혈장치료제 가운데 임상시험에 참여하는 코로나19 환자가 아닌 개별 환자에 사용되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앞서 GC녹십자는 코로나19 혈장치료제 ‘GC5131A’의 두 번째 배치 생산을 완료했다고 지난 14일 밝혔다.

코로나19 혈장치료제를 의료현장에서 환자의 치료에 실제 사용하고자 생산량을 대폭 늘린 것이다. 기존에 임상시험을 목적으로 생산했을 때보다 약 4배 많은 240리터의 혈장을 사용했다.

한편 GC녹십자는 현재 중앙대학교병원, 삼성서울병원 등 6개 병원에서 고위험군 환자 60명을 대상으로 코로나19 혈장치료제의 임상 2상 시험을 하고 있다. 이번 치료 목적 사용 승인은 임상과는 별개다.

이승훈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