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매출은 분기 사상 최고치…3분기 전기차 판매량 14만대
완전자율주행 기능도 소비자 반응 긍정적…“초기버전인 만큼 유의해야”
상대적으로 저렴한 테슬라 모델3의 판매량 증가가 테슬라의 역대 최대 매출을 이끌었다. /테슬라코리아 제공

[한스경제=김호연 기자] 미국 전기차 업체 테슬라가 다시 한 번 독보적 존재감을 과시했다. 올해 3분기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하면서 전기차·자율주행 시대를 향한 기대감을 끌어올렸다.

이번 실적은 테슬라가 전기차를 통해 ‘규모의 경제’를 실현했다는 점에서 보다 큰 의의를 갖는다. 더불어 완전자율주행 베타 서비스를 출시하는 등 미래 모빌리티 실현에도 한 발짝 다가간다.

26일 자동차업계에 따르면 테슬라의 매출은 87억7000만달러(9조9407억원)로 분기 사상 최대치다. 영업이익은 8억1000만달러(9140억원)을 기록해 매출과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39%, 210% 각각 증가했다. 순이익은 3억3100만달러(3751억원)으로 131% 성장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여파로 친환경 모빌리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전기차를 향한 글로벌 수요가 급증했고 테슬라의 매출 신기록으로 이어졌다. 더불어 세계 각국에서 전기차 업체에 적용되는 혜택에 힘입어 매출이 늘었다.

테슬라가 실적을 발표하기 전 공개한 3분기 전기차 출고량은 13만9300대로 전년 동기 대비 43% 증가했고, 역시 역대 최고치다.

여기에 각국이 전기차 업체에게 제공하는 혜택을 ‘독식’ 수준으로 받아가면서 실적에 일조했다. 테슬라는 국내 시장에서 올해 상반기 기준 지급된 저공해차 구매보조금의 43%인 약 900억원을 가져갔다.

미국에선 탄소 무배출 차량(EZV) 혜택 제도의 지원을 등에 업었다. 캘리포니아주 등 13개 주(州)는 친환경 자동차 생산량에 따라 자동차 제조업체에 크레딧을 부여하는데, 자동차 업체는 연말까지 충분한 크레딧을 확보하지 못할 시 주 규제 당국의 처벌 받는다. 테슬라는 전기차를 생산하면서 확보한 잉여 크레딧을 다른 업체에 팔아 수익을 올리게 됐다.

AP통신은 “테슬라 3분기 실적은 전 세계에서 전기차 판매량이 늘어난 데 따른 것”이라며 “전기차 크레딧 판매분이 지분도 상당했는데, 이게 없었다면 회사는 손해를 봤을지도 모른다”고 설명했다.

업계는 이번 실적 발표에서 매출보다 수익성이 크게 개선됐다는 점에 주목한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모델3의 판매가 늘면서 평균판매단가(ASP)가 하락한 대신 영업이익률은 9.2%로 최고기록을 경신했다. 박리다매(薄利多賣)를 통한 수익성 극대화로 규모의 경제 실현이 가능하다는 것을 입증한 셈이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 /연합뉴스

테슬라의 질주는 계속될 예정이다. 코로나19 사태에도 기존 목표인 2020년 50만대 판매를 유지한다. 이와 더불어 완전자율주행 기술의 연내 도입도 가능할 전망이다.

테슬라는 지난 20일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일부 고객을 대상으로 완전자율주행(FSD) 베타 서비스를 시험하기 시작했다.

테슬라의 FSD설명서에 따르면 이 기능은 고속도로에서 차로 변경이 가능하고, 네비게이션 경로에 따라 이동할 분기점, 좌·우회전이 가능하다. 국내에서 허용된 자율주행 2단계 기능이 직진과 전방 차량 차선 변경 인식까지 가능한 것을 생각하면 상당히 진보한 기능이다.

테스트에 참여한 소비자들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을 통해 ‘교차로에서의 FSD 기능 작동이 놀랍다’, ‘회전 구간에서 안전하게 신호를 통과한다’ 등 대부분 만족스러운 반응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FSD 베타 서비스 출시와 더불어 오는 26일부터 완전자율주행 패키지 가격을 8000달러(908만원)에서 1만달러(1135만원)로 인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다만 테슬라 스스로도 FSD 베타 사용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당부했다.

테슬라는 “FSD 베타 서비스는 초기 버전이고, 운전자는 거듭 주의해서 사용해야 한다”며 “최악의 경우 오류가 날 수도 있는 만큼 항상 운전대를 잡고 도로 상황에 각별히 신경을 써야 한다”고 당부했다.

김호연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