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스포츠경제 조혜승 인턴기자] 우리나라 국민의 평균 행복수명은 74.9세인 것으로 조사됐다. 응답자들의 기대수명인 평균 83.1세보다 8세가 적게 나타나 행복수명과 기대수명 간 격차가 존재했다. 이는 8년 이상 행복한 삶을 지속하기가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생명보험사회공헌위원회는 서울대학교 노년은퇴설계지원센터와 공동으로 ‘행복수명지표’를 개발해 경제활동인구 1,552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를 10일 밝혔다. 

▲ 사진=생명보험사회공헌위 제공

행복수명지표는 생명보험사회공헌위원회가‘백세시대(10X10)'를 의미하는 10월 10일을 ‘행복수명데이‘로 지정하고 노후준비 문화를 확산시키고자 개발됐다. 이 지표는 행복한 노후생활에 필요한 건강과 경제, 대인관계 그리고 사회참여 및 여가활동 등 4가지 영역으로 구성돼, 각 영역의 객관적 준비 수준, 주관적 만족도와 준비 계획 등을 포함한 총 40개 문항으로 측정된다.

이 같은 방법으로 측정한 우리나라 국민의 평균 행복수명(74.9세)이 기대수명(83.1세)보다 약 8세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인구학적 특성별로는 자녀가 있는 기혼자인 여성이 가장 행복수명이 긴 것으로 조사됐다. 여성(76.3세)이 남성(74세)보다 다소 행복수명이 길었고 기혼자(75.9세)가 미혼자(72.7세)보다, 자녀가 있는 경우(76.3세)가 없는 경우(71.9세)보다 길어졌다. 

▲ 사회인구학적 특성명 행복수명 산출 결과/사진=생명보험사회공헌위원회 제공

영역별로는 건강수명 76.4세, 경제수명 74.8세, 활동수명 73.2세 그리고 관계수명 75.7세로 건강수명 영역이 가장 길었다. 

아울러 소득 수준이 높을수록 행복수명이 길어졌다.

행복수명지표 연구를 맡은 서울대 소비자학과 최현자 교수는 “점수의 높고 낮음이 단순하게 노후준비 수준을 알려주었던 기존 지표와 다르게 ‘수명’의 개념을 최초로 적용해 자신의 노후준비 수준을 기대수명과의 격차를 통해 제시하기 때문에 노후준비의 필요성을 체감할 수 있다”며 “부족한 부분을 채우려 한다면 행복 수명은 늘어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위원회는 행복수명을 간편히 측정하고 노후준비 가이드라인을 제공받을 수 있는 ‘행복수명 자가진단 서비스’를 통해 이달 중으로 시작할 계획이다.

이수창 생명보험사회공헌위원회 위원장은 “많은 국민이 행복수명 캠페인에 동참하고 의미를 되새김으로써 노후준비 실천을 다짐하는 계기가 마련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조혜승 인턴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