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중소기업의 빅데이터 분석 활용률 10%로 최하위 수준
국가별 AI 역량 침투율 순위 추이 /K정책플랫폼

[한스경제=김창권 기자] 지난해 한국의 인공지능(AI) 기술 보급률이 지난해 세계 3위까지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중소기업은 데이터 분석 활용률이 저조해 생산성 격차가 갈수록 벌어지고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16일 민간 싱크탱크 K정책플랫폼(K-Policy Platform)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지난해 국가별 AI 기술 보급률 순위에서 인도(1위), 미국(2위)에 이어 3위를 차지했다.

해당 순위는 OECD가 2016∼2020년 글로벌 인적자원(HR) 서비스인 링크드인 데이터베이스(DB)를 활용해 각국의 AI 기술 보급률과 표본 내 모든 국가의 평균 AI 기술 보급률 간의 비율을 추정, 산출한 것이다.

2016년 4위로 출발한 한국 순위는 2017년 6위, 2018년 7위로 연거푸 하락했으나 2019년 다시 5위로 상승했으며, 2020년에는 3위로 역대 최고 순위를 달성했다.

2018년 이후 2년 만에 순위가 네 계단 상승한 것이다. 이 기간 한국은 이스라엘, 중국, 이스라엘, 독일 등을 제치고 3위에 올라섰다.

K정책플랫폼은 "한국의 선도 기업들은 세계 최고 수준의 디지털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며 "적어도 대기업이나 다국적 기업에 근무하는 고급 인재들의 AI 역량은 세계 3위 수준으로 발전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다만 디지털 선도 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생산성 격차는 점점 더 확대되는 추세라고 K정책플랫폼은 진단했다.

한국은 광대역망 등 IT인프라 보급은 최고수준이나, 2018년 기준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빅데이터 분석 활용률은 10%에 채 미치지 못해 OECD 최하위 수준을 기록했으며, 특히 정보통신기술(ICT) 부문에서 기술 선도 기업과 후행 기업의 생산성 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K정책플랫폼은 "교육이 기술발전을 따라잡지 못해 뒤처지면 사회후생과 빈부격차가 악화한다"면서 "중소기업에 근무하는 대다수 근로자의 디지털·데이터 문맹을 해소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김창권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