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스포츠경제 김서연] 우리은행이 오는 16일 예금보험공사와 맺었던 경영정상화 이행약정(MOU)을 해지하며 민영화 작업을 마무리한다. 정부가 공식적으로 우리은행에서 손을 떼면서 지난 16년간 이어져왔던 민영화 작업이 매듭을 짓게된 것이다.

▲ 서울 중구 소재 우리은행 본점. 사진=연합뉴스

14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이날 우리은행 투자자 7곳 중 마지막으로 IMM PE(프라이빗 에쿼티)가 예보에 지분 4% 매입에 대한 대금 납부를 마무리한다. 우리은행 지분 6%를 낙찰받은 IMM PE는 주식 매매대금을 추가로 내야 한다. 이날 대금 납부로 우리은행 과점주주들의 보유 지분(27.7%)이 예보 보유 지분(23.4%)을 넘어서게 된다. IMM PE에 앞서 한국투자증권(4%), 동양생명(4%), 유진자산운용(4%), 미래에셋자산운용(3.7%), 한화생명(4%), 키움증권(4%)이 모두 대금 납부를 마쳤다.

15일에는 임종룡 금융위원장이 과점주주 대표이사들을 직접 만나 경영 자율성을 보장하겠다는 의지를 밝힌다.

이어 16일에 공적자금관리위원회 의결을 거쳐 예보가 우리은행과 맺었던 경영정상화 이행약정(MOU)을 해지한다. MOU는 정부가 우리은행 경영에 개입할 수 있는 근거가 돼온 만큼 MOU 해지는 민영화 작업의 마침표로 볼 수 있다.

▲ '우리은행 민영화' 보유 지분 현황

정부는 1998년 외환위기 이후 부실은행들을 합쳐 우리금융지주(예보가 2001년 4월 지분 100% 취득)를 만들었고, 이 과정에서 공적자금 12조8,000억원을 투입했다. 공적자금관리특별법에 따라 체결한 MOU로 인해 우리은행은 매년 예보로부터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비율, 총자산순이익률(ROA) 등 경영지표 점검을 받아왔다. 우리은행이 다른 시중은행과 대등한 경쟁을 펼치는 데 MOU가 족쇄로 작용해왔다는 지적도 있었다.

앞으로 우리은행 경영은 과점주주들이 이끌어 가게 된다. 우리은행은 지난주 이사회를 열어 과점주주가 추천한 사외이사 후보를 확정했다. 신상훈 전 신한금융지주 사장(한국투자증권 추천), 박상용 연세대 교수(키움증권), 장동우 IMM인베스트먼트 사장(IMM PE), 노성태 전 한화생명 경제연구원장(한화생명), 톈즈핑(田志平) 푸푸다오허 투자관리유한공사 부총경리(동양생명)가 새 사외이사 후보다. 이들은 이달 30일 열리는 임시 주주총회에서 공식 임명된다.

‘우리은행 경영 자율성’의 첫 시험대는 차기 행장 선임이다. 우리은행은 새 사외이사를 중심으로 임원추천위원회를 구성해 이광구 우리은행장의 후임을 결정할 예정이다. 차기 행장은 내년 3월 주주총회에서 확정된다. 금융권은 차기 행장으로 누가 오느냐에 따라 “우리은행을 시장에 돌려주겠다”는 정부 의지의 진정성을 가늠할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현재 금융권에서는 이광구 행장의 연임 가능성을 높게 점치고 있다.

▲ 이광구 우리은행장. 사진=우리은행

3년 임기를 2년으로 단축하면서까지 민영화 의지를 강력하게 내세워 마침내 민영화를 성공시켰기 때문이다. 이 행장은 지난해 정부의 우리은행 지분매각 방침이 정해지자 올해부터 싱가포르와 영국, 독일, 스웨덴, 네덜란드, 미국, 일본 등 전 세계를 돌아다니며 기관 투자자들을 만났다. 이후 우리은행의 주가는 8,000원대에서 1만3,000원대까지 상승세를 타기 시작했고, 올해 3분기까지 1조1,059억원의 순익을 올려 지난해 연간 당기 순익(1조754억원)을 이미 초과할 만큼 수익도 좋아졌다.

이렇게 경영성적은 좋지만 이 행장의 재신임 여부는 사실상 행장 추천권을 갖게 되는 새로 과점주주로 참여하게 되는 지분 투자자들의 성향에 따라 결정될 전망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당장은 민영화된 우리은행을 안정시킬 인물이 필요해 새로운 주주들이 무리해서 새 인물을 세우려고 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이지만, 새로운 사외이사가 결정권을 갖고 있어 누가 사외이사가 되는지를 지켜봐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김서연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