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P2E, 100조 전망…글로벌 경쟁 심화에 국내 게임사 분주
정부 규제완화ㆍ지원책 제자리…문체부 “사행성 해결돼야”
게임업계 “20년 전 규제로 미래 신사업 선도 막아”
박보균 문체부 장관(가운데)이 지난 1일 게임업계 대표들과 만나 간담회에 나섰다. 사진=김재훈 기자
박보균 문체부 장관(가운데)이 지난 1일 게임업계 대표들과 만나 간담회에 나섰다. 사진=김재훈 기자

[한스경제=김재훈 기자] 지난해 위메이드의 ‘미르4 글로벌’ 흥행으로 NFT‧블록체인 게임을 아우르는 P2E(Play To Earn, 돈버는 게임)가 글로벌 게임업계의 새로운 트렌드로 떠올랐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여전히 P2E게임이 불가능하다. P2E에 대한 정부 정책이 속도를 내지 못하며 게임업계는 치열한 글로벌 주도권 선점 경쟁에 밀릴 것을 우려하고 있다.

글로벌 NFT‧블록체인 및 P2E 시장은 매년 급격한 성장을 보여주고 있다. 글로벌 조사기관 스태티스타는 게임을 포함한 글로벌 NFT 시장 규모는 지난해 140억달러(17조5840억원)에서 2025년 800억달러(100조4800억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또 게임 전문 벤처캐피탈 비트크래프트 벤처스는 글로벌 블록체인게임 플랫폼 시장이 2025년 500억달러(62조8000억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글로벌 P2E 급성장으로 경쟁도 치열해지는 만큼 국내 게임사도 시장 주도권 선점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전개하고 있다. 위메이드는 게임을 중심으로한 자체 블록체인 생태계 ‘위믹스3.0’을 공개했고 컴투스그룹도 C2X 생태계 구축에 집중하고 있다. 여기에 3N(넥슨, 엔씨소프트, 넷마블)도 NFT게임 개발에 나서며 경쟁은 점차 치열해 지고 있다.

하지만 P2E에 대한 정부의 규제는 여전하고 지원책은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또 콘텐츠진흥원과 게임물관리위원회는 P2E와 NFT게임을 두고 서로 엇갈린 정책을 내놓고 있어 업계 혼란만 가중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 되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이 후보 당시 P2E에 대한 긍정적인 입장을 밝히며 희망을 보는가 싶었지만 새정부 출범에도 P2E 규제 완화는 시간이 더 걸릴 전망이다. 

미르4 글로벌 / 사진=위메이드
미르4 글로벌 / 사진=위메이드

박보균 문화체육부 장관은 지난 1일 게임업계 간담회서 강신철 한국게임산업협회장의 “P2E게임 서비스에 대한 법적 가이드라인을 요청해 달라”는 말에 “잘 챙겨보겠다”는 원론적인 답변만 했다. 이를 두고 업계에선 정부가 사행성 등을 이유로 신중론을 펼치며 속도조절에 나서고 있다는 분석이다,

또한 문체부는 지난 4일 문체부 출입기자단 간담회에서 "P2E게임에 대해 해외진출을 위한 연구개발을 지원"하겠다면서도 "국내에선 사행성 문제를 종합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이중적인 태도를 보였다.

여기에 국내 게임 심의를 담당하는 게임물관리위원회는 여전히 현행법상 P2E게임 서비스는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유지하며 최근에도 P2E 32종에 대한 등급 분류 취소를 통보했다.

새정부 출범에도 P2E 게임 규제 완화가 정체를 보이자 게임업계는 답답하기만 한 상황이다. 글로벌 P2E 경쟁이 심화되는 만큼 시장 주도권을 잡을 수 있는 기회를 놓칠 수 있기 때문이다.

장현국 위메이드 대표는 “P2E는 거부할 수 없는 거대 흐름”이라며 규제 완화에 대한 뜻을 지속적으로 내비췄으며 방준혁 넷마블 의장도 “출시 자체는 허용하되 향후 부작용이 생기면 이에 대해서 규제를 하는 게 바람직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게임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P2E게임에 대해 가장 우려하고 앞세우는 논리가 게임의 사행성”이라며 “이는 20여년 전 불법 사행성게임들을 겨냥한 정책이다. 낡은 규제로 미래 주요 사업의 선장을 막는 상황”이라며 답답한 심경을 전했다.

김재훈 기자

키워드

#P2E #NFT #문체부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