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낙동강 국민체감 녹조조사단, 낙동강 현장조사 결과 발표 기자회견 
"정부 조사 신뢰성·정확성 부족해 시민사회가 나설 수밖에 없는 상황" 
"문제 해결위한 정부의 노력과 획기적 정책 기대" 
대한하천학회·낙동강네트워크·환경운동연합 등 관계자들이 25일 환경운동연합 회화나무홀에서 낙동강 현장조사 결과를 발표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 환경운동연합 제공
대한하천학회·낙동강네트워크·환경운동연합 등 관계자들이 25일 환경운동연합 회화나무홀에서 낙동강 현장조사 결과를 발표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 환경운동연합 제공

[한스경제=김동용 기자] 낙동강 수질을 조사한 결과, 녹조와 독소 문제가 심각하다는 주장이 시민단체 등으로부터 나왔다. 

더불어민주당 이수진 의원·대한하천학회·낙동강네트워크·환경운동연합은 25일 환경운동연합 회화나무홀에서 낙동강 현장조사 결과를 발표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현장조사 조사단장인 박창근 대한하천학회 회장은 "이번 조사에서 검출된 마이크로시스틴(MCs, 남세균이 생산하는 독소)은 최대 5000ppb(피피비) 인데, 미국의 경우 20ppb에도 물과 접촉할 수 있는 활동을 하지 말라고 권고하는 수준"이라며 "그런데 우리는 그에 200배가 넘는 수치에도 큰 문제 없다며 정수하면 괜찮다는 입장만 반복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박 회장은 "정부의 이러한 태도로 국민들은 녹조 핀 물에서 버젓이 레저를 즐기고 있는 상황"이라며 "국민과 낙동강의 안전을 위해서는 이 상황을 방치해서는 안된다"고 촉구했다. 

강호열 낙동강네트워크 공동대표는 "그간 낙동강 녹조에 대해 지속적으로 문제제기를 해왔음에도 정부는 마땅한 해결방안을 실행하지 못했고, 시행하고 있는 조사나 분석 등은 신뢰성과 정확성이 부족해 결국은 시민사회가 나설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됐다"며 "부산 시민으로서 부산의 어민에게 증언을 들었는데, 낙동강을 넘어 연안 해안까지 물고기들이 떼죽음을 당하는 등 실질적으로 피해를 입었다고 한다. 문제가 이미 강을 넘어 바다로 이어졌는데 정부의 노력과 획기적 정책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곽상수 대구환경운동연합 운영위원장은 "시민사회가 나서서 조류독성, 농작물 독소 검출 등의 결과를 발표했음에도 정부에서는 대책을 발표하지 않고 있다"며  "8월 조사 이전에도 지역 시민사회는 낙동강에 대해 자체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있었는데, 현재 낙동강의 녹조문제는 정말로 심각한 수준"이라고 우려했다. 

곽 위원장은 "낙동강 유역에서 농사짓는 사람으로서 예전에는 깨끗한 물, 좋은 공기를 자랑으로 삼았는데 이제는 가장 위험한 곳에서 살아가는 당사자라고 얘기하는 것이 현실"이라며 "최근에는 몇몇 농민들이 나서서 낙동강 보의 문을 열라고 요구하기도 하는 지경이다. 그만큼 녹조문제는 생존의 문제가 됐다"고 지역 분위기를 전했다. 

임희자 낙동강네트워크 공동집행위원장은 "남세균 문제 꾸준하게 지적해왔음에도, 아직까지 정부의 녹조 대책은 심각하게 부족하다"며 "특히 상세한 모니터링 자료가 없다는 것이 치명적"이라고 비판했다. 

임 위원장은 "현 상황은 국민의 안전을 담보로 정부가 녹조의 위험성을 실험하는 것 같은 느낌이다. 지금의 정부 시스템으로는 국민 건강을 지키지 못한다"며 "녹조에 대한 철저한 사전관리를 해야하고, 정기적이고 총체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낙동강의 문제라고 지역만 관심가질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중앙정부, 국회도 이 문제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촉구했다. 

앞서 지난 4일부터 6일까지 낙동강네트워크와 대한하천학회·환경운동연합 등은 낙동강 하굿둑부터 영주댐 상류까지 올 여름 낙동강 상황을 진단하기 위한 현장조사를 진행했다. 이번 기자회견은 그 결과를 발표하는 자리로, 국민이 체감하기 힘든 정부의 현행 녹조 측정 데이터 대신 실제 녹조 독소의 영향을 반영하고, 그 영향을 알기 쉽게 전달하기 위한 취지에서 기획됐다. 

김동용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