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중국 편중 구조 반드시 해결해야" 목소리 커져
▲ 최근 유커를 태우고 부산항에 들어올 예정이던 크루즈들이 잇따라 입항을 취소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새해 들어서는 한국 항공사들이 신청한 전세기 운항이 줄줄이 불허됐다. 방한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방한시장을 다변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사진은 크루즈를 타고 입항한 유커들. 한국관광공사 제공

[한국스포츠경제 김성환] 방한시장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 한반도 사드(THAADㆍ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배치에 따른 중국의 심상치 않은 ‘보복’ 때문이다.

업계와 부산항만공사에 따르면 유커(중국인 관광객)를 태우고 부산항으로 들어올 예정이었던 크루즈들이 최근 입항을 잇따라 취소하고 있다. 해양수산부는 올 한해 약 250만명으로 잡았던 방한 크루즈관광객 목표치를 200만명으로 하향 조정하는 것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앞서 새해 벽두에는 중국 민항국이 춘제(중국의 설) 기간 유커 수송을 위해 제주항공, 아시아나항공, 진에어 등이 신청한 전세기 운항을 불허했다. 이어 유커 수송을 위해 한국 정부에 전세기 신청을 했던 중국 항공사들도 운항을 갑자기 철회했다.

제주항공 관계자는 “중국편 전세기를 동남아 등 다른 지역으로 돌리고 있다”며 “당장에는 큰 문제가 나타나지 않겠지만 이런 현상이 장기화에 할 경우 업계의 불편과 불안감은 커질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한국행 전세기 운항 불허는 2월에도 이어질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분위기로는 3월 이후 상황도 낙관할 수 없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한국행 여행객 수를 20% 줄이라는 중국 당국의 방침도 4월까지 적용될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당국은 지난해 11월 저가여행 단속을 이유로 중국 일부 여행사에 이 같은 지침을 내렸다.

중국 당국의 대부분 제재는 현재까지 단체여행객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중국 내에서 한류 확산이 자유롭지 못할 경우 개별여행까지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국내 한 여행사 관계자는 “최근 개별여행 비중이 커지는 추세라 단체여행객 감소로 인한 타격이 단기간에 나타나지는 않을 것”이라면서도 “중국 내 한류 분위기가 시들해지면 개별여행 시장까지 악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사드 배치가 가까워지면 중국의 보복 조치 수위도 높아질 것으로 업계는 예상하고 있다.

▲ 그래픽=이석인 기자 silee@sporbiz.co.kr

중국은 방한시장에서 ‘큰 손’이다. 한국관광공사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을 찾은 외국인 관광객 약 1,700만명 가운데 약 800만명이 유커다. 중국의 움직임에 여행업계 민감하게 반응하는 이유다.

중국에 편중된 방한시장을 다변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는 것도 이 때문이다.

정부도 올해는 방한시장 다변화에 힘을 쏟는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올해 업무보고를 통해 관광산업을 국가전략산업으로 육성하겠다고 밝히며 방한시장 다변화를 통해 인바운드 관광시장의 안정성을 높이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한국관광공사도 방한시장 확대에 더욱 박차를 가한다. 관광공사는 지난해 일본에서 ‘2016-2018 한국 방문의 해’ 개최 수요 회복을 위한 ‘일본시장 르네상스 프로젝트를 본격 가동하고 동남아 및 무슬림을 대상으로 한국 우수 테마상품 30선을 선정해 집중 홍보하는 등 방한시장 확대에 힘을 쏟았다. 유럽과 미주 지역의 관광박람회에 활발하게 참석하는 등 일련의 노력을 통해 해당 국가의 방한관광객 증가라는 가시적 성과를 내기도 했다.

최근 ‘소녀상’ 문제로 일본과 관계 악화가 예상되는 가운데 회복세에 접어들었던 일본인 관광객들의 움직임도 예측할 수 없게 됐다. 올해는 더욱 방한시장 다변화 필요성이 커졌다는 이야기다.

이훈 한양대 관광학부 교수는 “올해 외래관광객 3,000만명을 목표로 하는 일본의 경우 중국, 한국, 대만 관광객이 약 20% 선으로 한 곳에 치우치지 않았다”며 “이에 비해 유커가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구조는 방한시장 안정을 위해 반드시 해결해야 할 문제”라고 말했다. 이어 “특히 동남아 지역으로 시장 확대가 필요하다”며 “인구가 많은 말레이시아나 인도네시아 등 무슬림 국가들을 상대로 종교를 뛰어넘어 문화와 경제로 접근하는 지혜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성환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