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 김재현 기자] 경제 불확실성이 확대되면서 인력감축 한파가 몰아친 금융권에 청년 일자리 만들기 프로젝트가 가동된다. 금융공공기관들은 올해 일자리 중심의 정책을 추진하는데 전력투구할 예정이다.

금융위원회는 23일 금융위원회 대회의실에서 금융공공기관장 간담회를 열고 2017년 금융공공기관 주요업무 추진계획, 성과중심 문화 확산방안 등을 논의했다./사진제공=금융위원회

금융위원회는 23일 금융위 대회의실에서 금융공공기관장 간담회를 열고 금융공공기관들과 함께 일자리 만들기에 의기투합키로 했다.

올해 정부가 국정운영의 중심을 일자리에 방점을 찍고 추진해 나갈 계획인 가운데 금융권이 솔선수범키로 한 것.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금융공공기관들이 솔선수범해 청년 신규채용을 최대한 확대해달라"라며 "인터넷전문은행, 핀테크 활성화 등을 통해 민간 금융분야에서도 양질의 일자리가 창출되도록 지속 노력해 나갈 계획"이라고 당부했다.

올 한해 금융공공기관들의 신규채용 규모는 약 1,000여명이다. 지난해에 비해 35% 수준 증가한 수치다.

CEO스코어가 분석한 최근 3년간 금융회사 고용현황을 보면 최근 3년간 국내 금융권에서 1만2000여개의 일자리가 사라졌다.

2013년 3분기 말 22만303명이던 고용인원이 지난해 3분기 말 20만7,990명으로 5.6% 줄었다. 업종별로는 증권업계의 일자리 감소(12.6%)가 두드러졌다. 이어 생명보험사(11.9%), 손해보험사(3.9%), 은행(2.1%) 등이 뒤 따랐다.

또한 청년일자리 창출을 위한 창업 활성화 지원도 병행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금융위는 금융공공기관, 금융권 등과 함께 '준비-창업-회수-재도전'에 이르는 창업 전 과정을 포괄하는 창업활성화 지원방안을 마련키로 했다.

창업·혁신기업에 대해 전년대비 3조원 증가한 42조원의 정책자금을 공급하고 성장사다리 펀드를 통해 1,800억원을 신규투자할 계획이다.

임 위원장은 "창업·혁신기업에 정책금융, 성장사다리 펀드 등을 통해 충분한 자금을 공급해 달라"라며 "연대보증의 굴레를 끊어주고 실패한 이후에도 다시 재도전하도록 재기 기회도 적극 제공해주길 바란다"고 촉구했다.

또한 경제활성화를 위해 금융공기관의 정책금융도 비타민 역할을 톡톡히 할 계획이다. 정책금융 공급을 사상 최대 수준으로 확대하겠다는 방침이다.

정책자금 공급 규모는 187조원이다. 산업은행 62조5,000억원, 기업은행 58조5,000억원, 신용보증기금 45조7,000억원, 기술보증기금 20조원으로 전년보다 8조원 늘었다.

임 위원장은 "1분기 내 25%, 상반기 내 58% 이상으로 자금을 신속히 집행할 것"이라며 "정책자금이 신성장분야에 공급되도록 신성장 공통기준 활용, 신성장 위원회 구성·운영 등 효율적인 지원시스템을 구축해달라"고 강조했다.

기관별로 산은은 미래 신성장산업 지원에 20조원을 투입한다. 회사채시장 인수지원 프로그램 최대 5,000억원, 가동과 채권시장안정펀드 10조원을 푼다. 기업은행은 올해 중소기업 자금공급 계획인 43조5,000억원을 이행하고 자영업자에 12조원을 공급한다.

신보와 기보는 중소·중견기업에 대한 보증공급을 예년보다 확대하고 연대보증 전면폐지 시행성과를 점검한다. 서민금융진흥원은 7조원의 정책 서민자금을 공급하고 청년·대학생, 한부모가정 등 취약계층에 대한 맞춤형 지원을 강화한다.

주택금융공사는 44조원 정책모기지를 올해 차질없이 공급하고 내집연금 가입도 확대한다. 자산관리공사는 자산매입 후 재임대 프로그램으로 최대 5,000억원을 기업구조조정에 투입한다. 예금보험공사는 금융회사 회생·정리제도의 원할한 도입을 준비한다. 우리은행 민영화의 성공적 안착도 지원한다.

거래소와 예탁원은 KSM(KRX Startup Market), 크라우드펀딩, 코넥스, 코스닥 시장이 활성화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김재현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