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드 관련 긍부정도/ 그래픽= 오의정 기자 omnida5@sporbiz.co.kr

[한스경제 채성오] 정부가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 사드) 배치를 결정한 이후 중국의 보복성 수위가 높아지고 있다.

대중국 무역 의존도가 높은 산업은 벌써 매출과 영업에 타격을 입었고 신규 상품 출시에도 제동이 걸린 상태다. 직접적인 피해를 벗어난 국내 기업들도 제재가 확산될 가능성에 대해 우려를 표하는 상황이다. 29일 한국무역협회는 긴급 간담회를 열고 사드 배치와 관련된 애로 사항을 해결해 달라고 우리나라와 중국 정부에 요청했다.

중국의 보복성 조치에 대해 미국도 사태를 예의주시하는 상황에 이르렀다. 같은 날 애나 리치 앨런 미국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대변인은 ‘미국의 소리(VOA)’ 방송에 출연해 “중국이 사드배치 결정과 관련해 한국 민간 부문에 일련의 조치를 취했다는 보도를 접하고 이에 대해 주시하고 있다”고 입장을 밝혔다.

그렇다면 국민들은 사드 배치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

한국스포츠경제는 사드 배치에 대한 국민들의 반응을 알아보기 위해 빅데이터 분석업체 리비와 함께 지난 1일부터 23일까지 약 23일간의 온라인 동향을 조사했다.

분석 키워드는 ‘사드’ ‘사드보복’ ‘사드배치’ 등 3가지다. 뉴스, 커뮤니티, 카페, 블로그, 트위터 등 온라인 채널에 게시된 글 9만610건과 댓글 73만196건을 분석했다.

지난 3일(8,605건)과 7일(1만4,225건)에는 각각 중국 내 한국 관광 금지와 국내 사드 배치 시작 관련 보도로 키워드 언급량이 많았다.

관련 키워드 긍‧부정 평가에서는 긍정적 의견(61.7%)이 부정(38.3%)보다 많았다.

긍정적인 의견을 살펴본 결과 사드 배치 후 생겨난 중국의 보복성 기조에 맞서야 한다는 생각이 주를 이뤘다. ‘중국에 강경하게 대처해야 한다(43.2%)’는 의견과 ‘중국과 외교관계가 나빠져도 (사드배치가) 필요하다(29.7%)’는 내용이 전체 긍정 평가 중 70%를 넘어섰다.

실제로 중국 정부는 사드 보복 수위를 높이며 한국을 압박하고 있다. 국내 면세점, 화장품, 호텔 등 유통업계를 비롯해 웹툰, 게임 같은 콘텐츠 사업까지 강력한 제재를 가하는 중이다. 여행‧관광업계 역시 중국에서 한국행 여행 상품을 전면 판매 금지하고 전세기 운항 허가도 불허해 타격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국내 경제 전문가들은 중국이 반한 기류 공세를 높이는 만큼 미개척 해외 시장으로 눈을 돌려야 한다고 말한다.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도 중국의 비정상적인 사드보복 행위를 비난하며, 강력하게 맞서야 한다는 의견을 피력하고 있다.

네티즌들은 온라인 커뮤니티에 ‘중국과의 관계에 대해 공세적으로 나가야 한다’ ‘(이번 기회에) 중국 무역 의존도를 줄이고 신규 시장을 개척하자’는 의견을 남겼다.

당분간 외교 관계가 나빠지더라도 ‘안보 강화를 위해 필요하다(27.0%)’는 의견도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중국 의식하지 말고 우리 안보는 우리가 지킨다는 뜻으로 생각한다’는 네티즌 의견이 눈길을 끌었다.

사드에 대한 부정적인 의견은 신뢰도 문제가 대부분을 차지했다. ‘실효성이 검증 되지 않았다(43.5%)’ ‘강대국들의 이권 싸움일 뿐(30.4%)’ ‘(신뢰도를 얻지 못한 채) 진행 속도가 너무 빠르다(26.1%)’는 견해가 이어졌다.

부정적인 평가를 내린 네티즌들은 ‘북한의 위협을 고고도 방어 체계가 제대로 막을 수 없을 것’ ‘미국, 일본 등 강대국들이 실속을 챙기고 한국은 이용만 당한다’ ‘혼란스러운 상황에서 졸속으로 밀어붙이기 때문’이라는 의견을 내비쳤다.

해당 기간 연간 키워드 언급량을 살펴보면 ‘중국(3만8,760건)’ ‘배치하다(3만5,849건)’ ‘보복하다(2만5,925건)’ ‘대한민국(2만433건)’ ‘방어하다(1만1,526건)’ 등 중국의 사드배치 보복과 관련된 단어가 주로 거론됐다. 점차 강화되는 중국의 보복성 조치에 국민적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것을 살펴볼 수 있다.

‘정부(1만476건)’ ’경제(7,160건)’ ‘외교(4,594건)’ ‘대책(3,454건)’ ‘우려(2,351건)’ 등 적절한 외교 대처를 하지 못한 정부의 무능함을 언급하는 글과 기사도 많았다. 대중국 무역 의존도가 높은 만큼 관련 기조가 유지될 경우 국내 산업에 타격을 받을 것이라는 우려도 있었다.

리비 관계자는 “3월 들어 중국의 사드 배치 보복과 정부 대응책에 대한 기사가 많았다”며 “보복성 조치에 대한 강경 대응의 필요성과 사드 실효성 등 긍부정 의견이 명확하게 나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채성오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