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 임서아] ‘최순실 사태’와 ‘김영란법(뇌물과 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으로 대기업에 악영향이 발생할 것이라는 우려가 현실이 됐다. 기업들이 낸 K스포츠·미르 재단 기부금이 ‘뇌물’로 비치면서 대기업들이 몸을 사린 탓이다.

뿐만 아니라 대기업의 고용까지 영향을 미쳤다. 대기업은 사회공헌 이미지 등을 위해 채용 규모를 가급적 전년 수준으로 유지하려고 노력해왔다. 하지만 지난해 재계 총수들이 줄줄이 특검의 압박을 받으면서 경영 불확실성의 확산, 채용을 줄이는 상황까지 도달한 것.

재계 관계자는 “과거에는 경제가 어려울 때도 대기업은 사회공헌 활동을 늘려왔다”며 “기부금에 대한 시선이 좋지 않은 상황이기에 앞으로는 사회공헌 활동이 조심스러워질 것 같다”고 우려했다.

▲ ‘박근혜·최순실 사태’와 ‘김영란법(뇌물과 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로 대기업에 악영향이 발생할 것이라는 우려가 현실이 됐다./연합뉴스

5일 업계에 따르면 2015년 국내 대기업은 세계적인 경기 불황 속에서도 사회공헌 활동을 늘렸었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의 대기업 사회공헌 실태조사를 보면 응답 기업 255개의 2015년 사회공헌 지출은 총 2조9,020억원으로 전년보다 6.8% 증가했다.

반면, 지난해는 달랐다. 10대 그룹 상장사의 기부금 규모는 작년 한 해 500억 원 이상 줄었다. 한진그룹이 기부금 감소폭이 가장 컸고 포스코와 롯데그룹도 대폭 줄었다.

재벌닷컴이 국내 10대그룹 상장사가 제출한 감사보고서를 토대로 기부금 규모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더욱 확실하게 알 수 있다. 작년 기부금은 9,748억원으로 전년의 1조256억원보다 5.2%(508억원) 줄었다.

그룹별 기부금은 삼성그룹이 4,703억원으로 가장 많았지만 1년 전보다 11.7% 감소했다. 현대차그룹은 1,053억원으로 두 번째에 많았다. 현대차그룹도 전년보다 6.2% 감소했다.

롯데그룹과 포스코그룹의 연간 기부금은 각각 571억원과 371억원으로 1년 전보다 26.9%, 30.8% 각각 줄었다. 한진그룹의 기부금은 152억원으로 작년에 44.2%나 급감했다.

채용 시장은 더욱 심각한 상황이다. 통계청 등 조사 결과, 올 1월 제조업 취업자는 440만명으로 지난 2015년 3월 이후 최저치다. 지난해 1월 456만명과 비교하면 16만명이 줄었다.

특히 국내 30대 대기업 일자리만 2만개 가까이 줄었다. 기업경영성과 평가사이트 ‘시이오(CEO)스코어’가 30대그룹 계열사 가운데 2015년과 비교 가능한 253곳의 고용 규모를 조사를 보면 이들 기업의 2016년 말 고용인원은 93만124명으로 전년 말에 견줘 1만9,903명(2.1%)이 감소했다.

전자업군에서는 삼성전자가 가장 많이 줄였다. 삼성전자 일자리는 2015년 9만6,898개에서 지난해 9만3,200개로 감소했다. DS(반도체) 부문에서만 381명이 늘었을 뿐 CE(가전)부문 2,581명·IM(모바일)부문 1,092명 모두 고용이 줄었다.

삼성전자의 채용은 앞으로 더욱 줄어들 가능성이 높다. 삼성은 지금까지는 컨트롤타워인 ‘미래적략실(미전실)’의 지휘 아래, 상·하반기 예상 필요 인력을 미리 취합해 각 계열사에 채용 인원 가이드라인을 내려보내는 식으로 결정됐다.

하지만 미전실이 해체됨에 따라 하반기부터는 각 계열사가 필요한 인력을 원하는 시기에 뽑는 채용체계가 시작, 채용 규모가 회사 상황에 맞게 줄어들 수도 있다.

한 재계 관계자는 “대기업은 사회적 책임 차원에서 정부와 상의해 채용규모를 정해왔지만 최근 대내외 어려운 경영 환경 때문에 당분간 채용이 위축될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임서아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