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국민을 공포에 휩싸이게 했던 메르스 사태에 대한 기억이 아직도 생생하다. 당시 보건당국이 국민들에게 메르스 발병 병원이름과 지역정보를 초기에 알리지 않아 메르스 피해를 확산시키는 원인이 됐다는 비판이 드셌다. 이해관계를 가진 주체들 간에 정보의 불균형으로  발생하는 정보 비대칭성의 파장이 일파만파였다.
정보 비대칭성은 시장에서 각 거래주체가 보유한 정보의 차이가 존재할 때 그 불균등한 정보구조를 말한다. 흔히 드는 예가 중고차 거래시장이다. 일반적으로 중고차 판매자는 판매차량의 성능, 사고여부, 주행거리 등 많은 정보를 보유하고 있지만, 구매자는 중고차량의 정보를 충분히 알지 못해 결점이 많은 중고차를 구매할 가능성이 크다. 이처럼 정보의 비대칭성은 그릇된 판단과 부작용(역선택)을 초래하는 원인이 된다. 
사실 금융은 대표적인 공급자와 수요자간 정보 비대칭성의 특성을 지닌 분야다. 금융시장의 제도나 상품을 소비자가 이해하기에 익숙치 않은 부분이 많다. 따라서 상품의 복잡성, 다양한 유형, 금리구조 등에 대한 소비자와의 비대칭적 정보문제가 늘 이슈로 존재해 왔다. 특히 각 금융사별 상품과 금리를 비교할 때 어려움이 더 했다. 현재 금융관련 각 협회가 해당 업권의 금융상품을 비교공시하고 있지만, 소비자들이 다른 업권에서 취급하는 상품을 비교하는 데는 상당한 불편을 겪는다. 자신에게 적합한 대출조건을 제시하는 금융기관을 찾기 위해선 직접방문 하는 등 발 품을 팔아서 금융정보를 얻어야만 한다. 설령 인터넷을 이용하더라도 정확하고 충분한 정보를 얻기가 힘들어 사회적 비용 발생이 불가피하다. 결국 금융소비자들은 금융업의 신뢰를 전제로 금융상품을 소비할 수 밖에 없는 현실이다. 이러한 금융정보의 비대칭성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 중의 하나가 권위 있는 기관의 공시제도다.
금융감독원은 내년 1월부터 모든 권역의 대체 가능한 금융상품을 한 화면에서 비교 할 수 있는 ‘금융상품 통합비교 공시시스템’을  홈페이지에 구축하기로 했다. 이 시스템의 도입으로 예?적금상품, 연금저축, 퇴직연금과 주택담보대출, 전세자금대출의 금리, 수익률 등에 대한 다른 금융업권의 상품조건을 동시에 비교하여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이번 금융정보 비대칭의 완화가 소비자에게 유익한 정보의 제공과 상품 선택권의 폭을 실질적으로 넓히는 계기가 되어야 한다. 금융소비자의 눈 높이에 맞춘 금융인프라가 구축되기를 기대한다.  [마케팅금융 칼럼니스트 이치한]

한국스포츠경제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